고속도로 인근 노는 땅 물류시설로 재탄생한다

입력 2021-02-08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토부, 상반기 로드맵…대형트럭 도심 내 진입 억제 기대

▲경부고속도로 기흥IC 인근 유휴부지에 2023년까지 물류시설이 들어선다. 사진은 사업시행자가 제출한 조감도. (사진제공=국토교통부)
▲경부고속도로 기흥IC 인근 유휴부지에 2023년까지 물류시설이 들어선다. 사진은 사업시행자가 제출한 조감도. (사진제공=국토교통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급증하는 물류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폐도(廢道, 다니지 못하도록 폐지된 길), 과거 영업소·휴게소 부지 등 고속도로 유휴부지 34곳이 물류시설로 재탄생한다.

국토교통부는 8일 지난해 9월부터 고속도로 유휴부지 내 물류시설 구축을 위해 한국도로공사와 진행하고 있는 연구용역을 통해 후보지 33곳의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후보지별 특성을 고려한 사업모델, 우선순위 분석결과 및 공공성 확보방안 등이 포함된 로드맵을 올해 상반기에 수립할 계획이다.

이날 도로공사는 글로벌네트웍스 컨소시엄과 고속도로 유휴부지 내(경부고속도로 기흥IC 인근 유휴부지 약 1만6000㎡)에 물류시설 시범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후보지 중 기흥IC 인근 유휴부지는 수도권 내 지리적 요충지에 있어 물류업계의 수요가 많은 곳으로 시범사업 대상지로 우선 추진했다.

글로벌네트웍스, 아워박스, 계성건설, 삼보기술단을 구성된 글로벌네트웍스 컨소시엄은 제안서 평가를 통해 지난해 12월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고 올 상반기에 물류시설 설계에 본격 착수하는 등 2023년 상반기 운영이 목표다.

이번 시범사업은 민간의 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사업시행자가 도로공사 부지를 임차해 물류시설을 직접 건축·운영(30년)한 이후, 소유권을 이전하는 건설ㆍ운영ㆍ양도(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으로 기획했다.

도로공사는 송유관·창고 등 부지 내 정리와 함께 수도·전기 등 기초공사를 하고 경부고속도로에서 부지로 직접 연결되는 진출로를 설치(하이패스IC 포함)하는 등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다.

주현종 국토부 도로국장은 “고속도로 유휴부지 내 물류시설 구축을 통해 대국민 물류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대형트럭의 도심 내 진입 억제를 통해 교통사고·환경피해도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678,000
    • +0.1%
    • 이더리움
    • 2,558,000
    • -1.27%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1.28%
    • 리플
    • 3,278
    • +2.02%
    • 솔라나
    • 211,300
    • -2.09%
    • 에이다
    • 1,002
    • +0%
    • 이오스
    • 962
    • -0.52%
    • 트론
    • 353
    • -1.67%
    • 스텔라루멘
    • 408
    • -0.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00
    • -2.4%
    • 체인링크
    • 21,080
    • +0.86%
    • 샌드박스
    • 429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