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과일, 채소, 고기, 생선 등 농·축·수산물 가격은 전년동월대비 16.2% 올라 2011년 2월(17.1%) 이후 10년 만에 최대 폭으로 올랐다. 국내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도 같은 기간 9.7% 상승했다. 2011년 8월(11.2%) 이후 9년 6개월 만에 최고치다.
여기에 국제유가 상승으로 휘발윳값과 서민 연료인 액화석유가스(LPG)도 오름세를 보인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11월 말부터 15주 연속 상승세다. 한국으로 수입하는 원유의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 가격이 연초 대비 30% 이상 오르며 지난 8일 배럴당 68.32달러를 기록했다.
E1과 SK가스는 이달 국내 LPG 공급가격을 ㎏당 88원 인상했고 LPG 충전소 평균 판매가격도 일반프로판 기준 지난해 5월 ㎏당 895.7원에서 지난달 ㎏당 1120.47까지 뛰었다.
유류할증료도 국내선을 시작으로 다시 부과된다. 국내선은 올해 2월 편도 기준 1100원의 유류할증료가 부과됐고 4월에는 2단계인 편도 2200원으로 오른다. 지난해 4월부터 이달까지 1년 1개월간 부과되지 않았던 국제선은 다음 달에는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선은 갤런당 평균값이 150센트 이상일 때 단계별로 부과하는데 2월 16일부터 3월 15일까지의 항공유 평균값이 150센트를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도시가스 일부 도매요금도 1∼2월에 이어 3월에 인상됐다. 지난 겨울 동아시아 전역에 몰아친 기록적인 한파에 도시가스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 소비량이 급증하면서 LNG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전기요금 연료비 연동제 시행으로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도 커졌다. 기준 연료비(직전 1년간 평균 연료비)에서 실적 연료비(직전 3개월 평균 연료비) 차이가 요금에 반영되는데 국제유가 상승으로 실적 연료비가 오르면서 하반기에 전기요금도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서울시는 대중교통 요금과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을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서울 지하철과 버스의 경우 기본요금을 최대 300원 올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수도요금도 가정용의 경우 현행 누진제를 폐지하고 ㎥당 2021년 430원, 2022년 500원, 2023년 580원으로 일괄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는 "경기회복이 역설적으로 경제위기를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가장 큰 우려가 물가 상승"이라며 "정부와 한국은행은 금리를 0%대로 낮추고 거의 무제한적으로 돈을 풀었다. 물가가 언제든지 치솟을 수 있는 구조"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