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핫~펀드] 3월 마지막주 주식형 2% 이상 수익…채권형은 소폭 하락세

입력 2021-04-03 09: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 = 제로인)
(자료 = 제로인)

3월 마지막 주에서 4월로 넘어간 이번 주 펀드 수익률은 주식형 펀드가 2%대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채권형 펀드는 마이너스 수익률로 나타났다.

3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펀드 수익률 중 전체 국내 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2.75%(4월 2일 오후 공시 기준) 상승했다.

한 주간 주식형 펀드의 일반주식 펀드는 2.38%, 중소형주식 펀드는 1.87%, 배당주식 펀드는 2.78%, K200인덱스 펀드는 2.76%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펀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국내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0.05%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의 일반채권펀드는 0.01%, 초단기채권펀드는 0.02%의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중기채권펀드는 0.25%, 우량채권펀드는 0.15%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해외주식형 펀드는 한 주간 1.98% 상승했다. 북미주식펀드가 2.36% 상승하며 가장 많이 상승했다. 섹터별 펀드에서는 에너지섹터 유형이 4.24%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세를 보였다.

대유형으로는 해외주식혼합형(1.47%), 해외채혼합권형(0.62%), 해외부동산형(0.17%)이 플러스 수익률을 보였고, 커머더티형(-1.82%), 해외채권형(-0.24%)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다.

국내공모 펀드 설정액은 한 주간 10조4300억 원 감소한 229조1389억 원으로 나타났다. 순자산액은 8조8215억 원 감소한 254조9394억 원을 기록했다.

주식형펀드의 설정액은 1029억 원 감소한 19조9837억 원으로 집계됐고, 순자산액은 4900억 원 증가한 27조5481억 원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의 설정액은 5721억 원 증가한 24조9396억 원으로 집계됐고, 순자산액은 5676억 원 증가한 25조4530억 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형 펀드의 설정액은 17억 원 증가한 1조4511억 원으로 집계됐고, MMF 펀드의 설정액은 11조1308억 원 감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54,000
    • +2.84%
    • 이더리움
    • 4,834,000
    • +1.64%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08%
    • 리플
    • 669
    • +0.45%
    • 솔라나
    • 206,000
    • +4.25%
    • 에이다
    • 552
    • +1.85%
    • 이오스
    • 813
    • +2.14%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00
    • +3.08%
    • 체인링크
    • 20,060
    • +5.47%
    • 샌드박스
    • 466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