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올해 근해어선 8개 업종‧62척 직권감척

입력 2021-04-0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가 올해 근해어선 8개 업종, 62척을 대상으로 직권감축에 들어간다.

해수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1년도 근해어선 직권감척 추진계획을 수립해 5일부터 6월 4일까지 공고한다.

우리나라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1990년대 120∼150만 톤, 2000년대 100∼120만 톤 규모였으나, 2010년대 들어 90∼100만 톤 규모로 감소하면서 어업 경영에 어려움이 지속하고 있다.

이에 해수부는 제2차 연근해어업 구조개선을 통해 어업자원량 400만 톤, 연근해어업 생산량 110만 톤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총허용어획량(TAC)에 기반을 둔 자원관리형 어업구조를 정착시키기 위해 2019년부터 매년 근해어선 감척 시행계획을 수립, 시행 중이다.

올해는 한·일 어업협상 체결 지연으로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에 입어를 못 하는 업종과 오징어 등 수산자원 회복이 필요한 업종, 어업분쟁 해소가 필요한 업종 등 11개 업종, 131척의 감척 시행계획을 수립했다.

해수부는 올해 2월까지 신청을 받았으나 시행계획 목표에 미달한 근해어업 업종(8개, 62척)이 있어 이를 대상으로 연근해어업구조개선법에 따라 직권감척을 추진할 예정이다.

직권감척 대상자 선정기준은 △어선의 선령(안전사고가 우려되는 노후 어선 위주) △어선의 규모(톤수·마력수가 높아 자원을 남획하는 어선 위주) △수산관계 법령 준수 정도(불법어업으로 어업 질서를 위반하는 어선 위주) 등이다.

직권감척 대상자는 불법어업 정도, 감척 예산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전문가와 어업자대표 등이 참여하는 중앙수산조정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선정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감척 대상 업계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할 계획이다.

조일환 해수부 어업자원정책관은 “연근해어선을 어업자원량 대비 적정 규모로 감척하여 지속 가능한 어업생산 기반을 조성하고 연근해어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당 업계 어업인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33,000
    • +0.88%
    • 이더리움
    • 2,679,000
    • -0.26%
    • 비트코인 캐시
    • 444,700
    • +0%
    • 리플
    • 3,144
    • +3.05%
    • 솔라나
    • 181,300
    • +4.5%
    • 에이다
    • 975
    • +1.25%
    • 이오스
    • 1,157
    • -7.96%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84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450
    • +0.24%
    • 체인링크
    • 19,090
    • +0.58%
    • 샌드박스
    • 389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