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합의를 '극적'이라고 표현한 배경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제무역위원회(ITC) 거부권 행사 시한을 하루 앞뒀기 때문이다.
여기에 양측의 합의금 '2조 원' 역시 배터리 업계 사상 최대규모였기 때문이다.
나아가 양측이 밝힌 입장문에는 '배상' 또는 '보상' 표현없이 "지급한다"라는 내용으로 채웠다. 공동으로 합의문을 발표하기 직전까지 "치열한 자존심 싸움이 이어졌을 것"이라는 분석도 이 시점에서 나온다.
양사가 발표한 공동 합의문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ITC에서 진행되고 있는 배터리 분쟁을 모두 종식하기로 합의했다"고 표현돼 있다.
양사는 "이번 합의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에 현재 가치 기준 총액 2조 원(현금 1조 원+로열티 1조 원)을 합의한 방법에 따라 지급한다"라며 "관련한 국내ㆍ외 소송을 모두 취하하고 향후 10년간 추가 소송도 제기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LG 측이 소송을 먼저 제기했고 SK가 돈을 지급해야 하는 만큼 이번 합의금은 '배상액' 이다. 다만 합의문에 이런 내용은 한 글자도 포함돼 있지 않았다. 합의금을 2조 원 수준에 맞추되 SK 측의 강력한 요구(배상 및 보상 표현 삭제)가 있었을 것이라는 전망도 여기에서 나온다.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과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의 공동 입장문 역시 마찬가지다.
두 CEO는 "한미 양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건전한 경쟁과 우호적인 협력을 하기로 했다"며 "특히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배터리 공급망 강화 및 이를 통한 친환경 정책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도 추가 입장 문을 냈다. 로열티를 포함해 2조 원을 내야 하는 만큼, 자세한 입장을 밝혔다.
SK 측은 "장기간 지속한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해 준 한미 행정부와 이해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어떤 상황에서도 변함없는 지지를 보내준 조지아주 주민들과 브라이언 캠프 주지사, 주정부 관계자, 조지아주 상/하원, 잭슨 카운티, 커머스시에도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지루한 소송전 탓에 빠르게 성장하는 유럽 전기차 시장을 놓칠 수 있다는 절박함도 있었다. LG 측은 "이번 합의를 통해 폭스바겐과 포드를 포함한 주요 고객사들이 세계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급성장하는 전기차 및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대승적 결단을 내리게 됐다"고 강조했다.
기업과 기업의 소송 합의금은 절충점이 어느 수준에서 결정되느냐가 중요하다. 소송의 성패와 견줄만큼 중대한 숫자다.
이런 면에서 2조 원의 합의금은 LG 측과 SK 측 모두 한발씩 양보하는 수준에서 절충안을 찾은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경쟁사들의 빠른 성장에 대한 두 회사의 위기의식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 강자인 일본의 파나소닉을 비롯해 막대한 내수 시장에 힘입어 급성장해온 중국의 CATL, BYD 등은 이미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주요 경쟁 업체들이다.
그뿐만 아니라 친환경 정책을 가장 활발히 전개하는 유럽 대륙에서도 최근 노스볼트 등 신생 배터리 업체들이 잇따라 출현하며 경쟁 구도가 나날이 심화하고 있다.
한ㆍ미 정부에서 합의를 압박한 것도 주된 영향으로 꼽힌다.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앞세운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LG와 SK의 소송은 걸림돌이었다.
배터리 공급 부족 국면에 두 업체 중 하나라도 미국에서 사업에 타격을 입는다면, 이는 곧 미국 전기차 공급 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행정부로서는 양사의 합의야말로 최선의 선택지였다.
국내에서도 정세균 국무총리가 직접 합의의 필요성을 언급하는 등 정치권에서 직ㆍ간접적으로 양사에 합의를 종용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