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실련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LH가 발주한 건설사업관리 용역 입찰 평가 자료를 공개했다. 이 기간에 LH가 발주한 건설사업관리 용역은 92건이다. 이 가운데 두 개 업체(컨소시엄 포함)만 입찰한 용역이 66건(71.7%), 세 곳이 입찰한 용역은 17건(18.5%)이었다. 입찰 업체가 네 곳 이상이었던 입찰은 9건(9.8%)이었다.
경실련은 입찰 업체 수가 적었던 게 '무효 입찰 회피 방책'이 아니냐고 의심한다. 경쟁 입찰에서 한 곳만 입찰하면 입찰이 무효가 되지만 2~개 업체가 참여하면 경쟁을 줄이면서도 입찰을 이어갈 수 있어서다. LH가 특정 업체끼리 용역 수주를 독점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주액 기준 상위 10개 업체끼리는 컨소시엄을 꾸리지 못하게 함에도 입찰이 저조한 건 담합 징후라는 게 경실련 주장이다.
경실련은 또 다른 담합 징후로 입찰에 참여한 소수 업체끼리 비슷한 금액을 적어낸 것을 제시한다. 경실련에 따르면 건설사업관리 용역 낙찰 업체와 2순위 업체 간 투찰 금액 차이가 1%가 안 되는 사업 비중이 전체 사업 중 63%(58건)에 달했다.
경실련은 LH가 용역비를 부풀렸다고도 비판했다. 건설사업관리 평균 낙찰률(기준가격과 낙찰가 사이 비율)은 81.2%인데 이를 직접인건비 설계 금액으로 환산하면 54만5979원이다. 이는 고급 기술자 노임 단가(23만8416원)보다 2.3배 많다. 경실련은 낙찰가율 81.2%로도 이윤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건 애초부터 설계금액이 부풀려진 탓이라고 주장한다.
관련 뉴스
경실련은 LH의 용역업체 선정 방식이 전관 특혜를 부추긴다고도 비판했다. 종합심사낙찰제를 운용하면서 LH는 내부 직원을 평가위원으로 참여시키고 있는데, 심사 경험이 많은 내부 평가위원이 낙찰 점수를 좌우한다는 게 경실련 주장이다. 실제 LH 내부 평가위원이 최고점을 준 업체 가운데 입찰에서 떨어진 경우는 92건 중 9건뿐이었다. 여기에 LH가 올해 내부 평가위원을 7명 중 3명에서 5명으로 늘리면서 내부 평가위원 입김은 더욱 커지게 됐다. 전관 특혜 유혹에 노출되기 쉬운 구조다.
경실련은 지난달에도 LH 전관 영입 업체가 건설사업관리 용역에서 특혜를 받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경실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사업비 상위 10개 건설사업관리 사업 중 9개를 전직 LH 직원을 영입한 업체가 수주했다. 가장 사업 규모가 컸던 123억 원짜리 아파트 건설 공사 관리는 전직 LH 직원 세 명을 영입한 모(某) 건축사무소가 가져갔다.
경실련은 "줄 세우기 입찰 담합 징후가 매우 강한 것으로 보이는바 공정위 및 검ㆍ경찰 등 사정기관은 LH 건설사업관리 용역 사업의 입찰 담합을 철저히 수사해 기회의 평등과 평가과정의 공정을 정립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경실련의 주장에 LH 측은 "오히려 92건의 사업 중 종합심사낙찰제로 낙찰자를 선정한 86건 사업 중 외부위원이 1위로 평가해 낙찰자가 선정된 게 97%(83건)에 달한다"며 "외부위원 심사 결과에 따라 낙찰자가 선정되고 있어 내부위원 평가 결과가 낙찰자 선정에 영향을 끼친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LH 측은 "지난해 건설사업관리용역 수주 상위 10개 업체는 건설관리능력, 보유 기술자 등 제반 부문에서 업계 상위 수준으로 경쟁력이 우수해 당선 가능성이 본래 높은 업체들이었다"며 "이들 업체의 LH 수주액 비율도 총 매출액 대비 20% 수준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