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4월 FOMC, 테이퍼링 논의가 시작되면 시장 반응이 격렬할까?

입력 2021-04-27 07: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향후 테이퍼링 궤적
 (자료=메리츠증권)
▲향후 테이퍼링 궤적 (자료=메리츠증권)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정례회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연준의 경기인식 상향조정 여부와 테이퍼링 논의에 대한 힌트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메리츠증권 이승훈 연구원은 27일 “4월 FOMC까지는 테이퍼링에 대해 여전히 시기상조라는 입장이 반복될 것”이라고 밝혔다.

가는 “조금 더 긴 시계에서는 4월 12일 제임스 불라드(James Bullard)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미국민 75% 백신 접종할 때 테이퍼링 논의 가능”을 언급한 배경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그 취지는 이 정도의 백신 접종률이라면, 방역 가이드라인 완화와 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회복세 가속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고 말했다.

그는 “접종률이 2차 함수의 형태를 띤다는 것을 가정한다면 75%에 준하는 접종률이 가시화될 시점은 6월 중순쯤일 것이다. 우리는 이 무렵부터 이전소득으로 쌓아둔 저축이 소비로 더욱 빠르게 전환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가정에 따라 보면, 테이퍼링 논의 착수가 이르면 7월 FOMC 의사록에서 공개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연구원은 “프라이머리 딜러 서베이는 이미 2021년 1분기 테이퍼링을 선반영하고 있다. 연준은 테이퍼링 시행에 있어 2013~14년의 선례를 따라갈 것이라 언급한 바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 테이퍼링 일정 공개시점이 2013년 12월 FOMC였고, 테이퍼 탠트럼(5.22일)이 사실상의 예고라 본다면, 금융시장은 2021년 1분기로부터 6개월 전에 논의가 이루어지는 것에 격렬하게 반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다만 그 과정에서 실업률의 꾸준한 하락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에 코스피·코스닥 5%대 폭락
  • "테슬라는 어떡하라고?"…머스크, 트럼프에 반기 든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산불 재난 인니 영웅…은혜는 꼭 갚는 한국인 [해시태그]
  • 단독 대상웰라이프, 홈플러스 기업회생 한 달 만에 철수...건기식 매대도 빨간불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수사 밀려온다…재구속 가능성은
  • 국내 or 해외?…5월 연휴 가족여행, 어디로 떠날까 [데이터클립]
  • “탄핵 이슈 소멸, 오로지 美 영향” 환율, 33.7원 급등…“1500원 가능성은 열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013,000
    • -6.35%
    • 이더리움
    • 2,254,000
    • -15.04%
    • 비트코인 캐시
    • 391,700
    • -10.53%
    • 리플
    • 2,664
    • -14.15%
    • 솔라나
    • 151,800
    • -13.99%
    • 에이다
    • 819
    • -13.42%
    • 이오스
    • 1,045
    • -6.11%
    • 트론
    • 339
    • -3.97%
    • 스텔라루멘
    • 325
    • -11.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90
    • -13.49%
    • 체인링크
    • 16,190
    • -13.61%
    • 샌드박스
    • 339
    • -1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