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관리제 기간 1946㎞ 도로 집중관리…미세먼지 농도 35.7%↓

입력 2021-04-28 13: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국 17개 시·도 387개 구간…진공노면차·분진흡입차 등 1661대 활용

▲집중관리도로 청소에 활용된 청소차량. (자료제공=환경부)
▲집중관리도로 청소에 활용된 청소차량. (자료제공=환경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도로먼지를 집중 관리한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중 집중관리도로 운영 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로 재비산 먼지로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의 평균 농도가 도로 청소 후 35.7% 줄었다고 28일 밝혔다.

재비산 먼지는 도로에 쌓였던 먼지가 자동차의 타이어와 도로면의 마찰로 다시 대기중으로 흩어지는 먼지다.

환경부와 전국 17개 시·도는 자동차 통행량, 도로 미세먼지 노출, 인구 등을 고려해 총 387개 구간 1946㎞를 집중관리도로로 지정했다. 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이 구간은 도로 청소를 하루 1회에서 2회 이상으로 강화했다.

도로 청소에는 진공노면차, 분진흡입차, 고압살수차 등이 사용됐다. 올해 3월 기준으로 전국의 도로 청소 차량은 진공노면차 982대, 분진흡입차 267대, 고압살수차 412대 등 총 1661대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도로 재비산 먼지' 농도 이동측정차량으로 수도권 지역의 집중관리도로 중 35개 구간에서 청소 이전과 이후의 도로 미세먼지(PM10)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청소 전 미세먼지(PM10) 평균 농도는 158.5㎍/㎥, 청소 후 평균 농도는 101.7㎍/㎥로 나타나 미세먼지 평균 저감률은 35.7%를 기록했다.

도로 청소에 투입되는 차량 유형에 따라 평균 저감률을 구분하면 진공노면차 투입은 27.8%, 분진흡입차는 36.7%, 진공노면차와 고압살수차 복합 투입은 49%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지자체와 공유하고, 도로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뛰어난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도로 주변의 재비산 먼지를 줄이는 것이 미세먼지 저감의 체감효과가 크기 때문에 진공노면차 등 도로 청소 차량을 지속해서 보급하고 집중관리도로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0: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48,000
    • -1.33%
    • 이더리움
    • 3,470,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569,500
    • -0.52%
    • 리플
    • 3,509
    • +5.03%
    • 솔라나
    • 242,000
    • -0.74%
    • 에이다
    • 1,131
    • -0.79%
    • 이오스
    • 1,221
    • -5.2%
    • 트론
    • 378
    • +1.07%
    • 스텔라루멘
    • 433
    • +0.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800
    • -4.29%
    • 체인링크
    • 23,200
    • -3.37%
    • 샌드박스
    • 494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