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이해찬 나란히…‘개성공단 정상화’ 내걸며 친문·친노 어필

입력 2021-05-21 15: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개성공단 정상운영 보장 남북합의 지켜져야"…대북전단 금지도 옹호
친문·친노 좌장격 이해찬·한명숙 나란히 서 "이재명 감사"…당내 영향력 확장
23일 노무현 12주기서 이재명ㆍ이낙연ㆍ정세균 친노 확보 경쟁 전망
이인영, 한미회담에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앞당기는 계기"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DMZ 포럼'에서 이해찬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에게 입장을 권유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DMZ 포럼'에서 이해찬 (사)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에게 입장을 권유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권 유력 대권 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21일 친문(문재인)·친노(노무현)와의 접점 확대에 나섰다.

이 지사는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경기도 주최 ‘2021 DMZ 포럼’에서 개성공단 정상화 등 대북·외교 구상을 공개했다. 포럼을 공동 주최한 동북아평화경제협회 이사장 신분으로 기조연설에 나선 친문·친노 좌장격 이해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나란히 서서다.

이 지사는 “개성공단 재개는 남북간 긴장 완화와 교류협력의 버팀목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개성공단 정상 운영을 보장키로 한 2013년 남북 합의는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정권 때) 불의한 국가권력에 의해 불법으로 중단됐고, 합리적인 대국민 설명도 없이 교류 협력법에 의한 어떠한 절차도 지켜지지 않았다”며 “개성공단 재개, 남북 간 철도·도로 연결, 인도적 협력을 비롯한 남북합의 이행을 위해 유엔안보리가 포괄적 상시적 제재 면제를 허용하도록 관련국들에 대한 설득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DMZ 내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선 “대북전단 살포는 접경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유발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며 평화를 훼손하는 범죄행위”라며 “대북전단 살포 금지는 표현 자체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폭력과 군사대결을 초래하는 방식을 제한함으로써 더 많은 자유와 더 많은 생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불가피한 조치”라면서 문재인 정권의 금지 조치를 옹호했다.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DMZ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권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21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DMZ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전 대표는 축사에서 “평화경제 협회와 함께 기조연설까지 해준 이 지사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며 “경기도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도 평화를 만드는데 기여할 능력과 의사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띄웠다.

친노 ‘대모’라 불리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도 축사에 나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처음으로 이렇게 집중적이고 열정적으로 DMZ라는 이슈를 가지고 우리나라의 평화 만들기를 주도해 주시는 경기지사님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본래 비주류로 문재인 대통령과 한때 대립하기도 했다. 하지만 친문·친노 좌장격들이 이 지사와 나란히 나서 발언을 하면서 이 지사의 당내 확장성이 더 커지는 모습이다.

특히 이 전 대표의 경우 이 지사의 대권 지원 성격을 띈 전국조직인 민주평화광장과 교감하고, 이해찬계 현역 의원들도 출범식에 대거 참석하면서 사실상 동맹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오는 9월 예정된 대선후보 경선을 앞두고 이 지사는 당 주류인 친문·친노와 접점을 넓히며 1강 구도를 굳히고 있다.

경쟁자인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와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오는 23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2주기 추도식에서 친노 지지세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이 지사까지 ‘빅3’ 대권 주자들이 친노 확보 경쟁에 나설 전망이다.

한편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한국시간으로 22일 새벽 예정된 한미정상회담에 대해 “북미대화와 남북협력의 새로운 여건이 형성되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의 시간표를 앞당기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원한다”며 “가장 첨예한 전쟁과 대결을 경험한 한반도에서 시작되는 평화가 전 세계의 화해와 협력을 위한 강력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44,000
    • -1.79%
    • 이더리움
    • 2,667,000
    • -3.96%
    • 비트코인 캐시
    • 447,800
    • -1.13%
    • 리플
    • 3,010
    • -3.99%
    • 솔라나
    • 172,700
    • -7.25%
    • 에이다
    • 955
    • -5.35%
    • 이오스
    • 1,167
    • -1.85%
    • 트론
    • 345
    • -2.27%
    • 스텔라루멘
    • 383
    • -3.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670
    • -4.65%
    • 체인링크
    • 19,030
    • -5.28%
    • 샌드박스
    • 379
    • -5.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