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약발 먹혔나...물가 5% 급등에도 증시 날고 국채 금리 하락

입력 2021-06-11 10: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비자물가 5% 급등에도 뉴욕증시 일제히 상승
10년물 금리는 4bp 하락한 1.44%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지난해 12월 1일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D.C./AP뉴시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지난해 12월 1일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D.C./AP뉴시스
인플레이션에 대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꾸준한 커뮤니케이션이 통한 것일까. 물가 급등 소식에도 증시는 상승하고 국채 금리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5% 급등했다. 2008년 8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으로, 앞서 월가가 전망한 4.7%를 웃도는 성적이다. 근원 CPI도 3.8% 상승해 1992년 6월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다.

미 노동부는 자가용과 트럭 등 중고차 가격이 7.3% 오르면서 전체 CPI 상승분의 3분의 1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일부 이코노미스트는 중고차 가격이 급등한 탓에 CPI에 일부 왜곡이 있었다고 짚었다. 다만 지난달에 이어 식품과 에너지, 의류 등 거의 전 부문에서 인플레 압박은 여전한 상황이다.

▲S&P500지수 등락 추이. 10일(현지시간) 종가 4239.18 출처 CNBC
▲S&P500지수 등락 추이. 10일(현지시간) 종가 4239.18 출처 CNBC
▲미 국채 10년물 등락 추이. 10일(현지시간) 종가 1.44% 출처 CNBC
▲미 국채 10년물 등락 추이. 10일(현지시간) 종가 1.44% 출처 CNBC
인플레 우려에도 시장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오르고 S&P500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 10년물 국채 금리도 4bp(1bp=0.01%p) 하락한 1.44%까지 떨어져 3월 초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준은 그동안 꾸준히 인플레 압박이 일시적이라는 점을 시장에 강조했다. 최근 금리 인상과 연내 테이퍼링(채권매입 축소)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지만, 인플레만큼은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 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말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것”이라며 “만약 지속적인 인플레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연준에는 해결할 수단이 있다”고 밝혔다.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인플레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치솟을 것이라는 우려는 잘못된 것”이라며 불안감을 불식시켰다.

바이탈놀러지의 아담 크리사풀리 창립자는 CNBC에 “이번 CPI는 내러티브를 극적으로 바꿀 것 같지 않다”며 “앞으로 몇 달 내에 인플레 모멘텀이 약해질 것이라는 신호가 여전히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시총 두 배 ‘빅딜 효과’…K-제약·바이오, 빅파마와 거래로 성장동력 확보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47,000
    • +0.11%
    • 이더리움
    • 2,291,000
    • -1.04%
    • 비트코인 캐시
    • 477,500
    • -1.14%
    • 리플
    • 2,996
    • -0.89%
    • 솔라나
    • 194,800
    • +0.46%
    • 에이다
    • 890
    • -0.67%
    • 이오스
    • 900
    • +1.58%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50
    • +2.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90
    • +1.26%
    • 체인링크
    • 18,320
    • +0.66%
    • 샌드박스
    • 371
    • +3.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