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면접답변 “기본소득? 뒤로 밀릴 수도…1번은 성장 회복”

입력 2021-07-04 17: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경선 행사 '국민면접'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경선 행사 '국민면접'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4일 경쟁주자들의 집중비판을 받는 기본소득에 대해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날 충북 청주시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면접 ‘1 대 3 압박면접’에서 기본소득 우선순위가 바뀌었는지 묻는 천관율 기자의 질문에 “‘1번이 기본소득이지?’라고 하니 그건 아니고 순위가 뒤로 밀릴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첫 TV토론회에서 기본소득이 1번 공약은 아니라고 발언한 것에 대한 천 기자의 질문에 이 지사는 “어제 발언 시간이 부족해 생긴 문제인데 지역화폐형 기본소득은 효과 높은 재분배 정책이라 핵심과제”라면서도 “1번 공약은 성장 회복이어야 한다. 기회를 늘리고 희망을 가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다. 그 방법이 공정사회 실현과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에너지·디지털대전환인데, 그 하위 단계에 여러 정책 중 하나가 기본소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해영 전 민주당 최고위원이 기본소득 재원조달책을 묻자 “경직성 예산은 줄일 수 없다고 생각하는데 부정부패 요소와 낭비를 줄이면 고정비용도 줄일 수 있다”며 “1년에 바로 25조 원 확보하는 것도 아니고 연 1회 25만 원·가구당 100만 원 정도, 그 다음엔 연 2회 가구당 200만 원 등 이렇게 순차적으로 늘린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간 조세감면 규모가 50조~60조 원이라 순차적으로 줄여 기본소득을 늘려갈 수 있다”며 “마지막 단계에선 사회적 타협으로 탄소세, 데이터세, 로봇세, 국토보유세 등을 부과해 전액 국민에 기본소득으로 지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071,000
    • +1.24%
    • 이더리움
    • 2,567,000
    • +1.99%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1.45%
    • 리플
    • 3,166
    • +2.19%
    • 솔라나
    • 222,200
    • +4.96%
    • 에이다
    • 1,032
    • +4.24%
    • 이오스
    • 975
    • +5.41%
    • 트론
    • 350
    • -0.85%
    • 스텔라루멘
    • 408
    • +7.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500
    • +19.32%
    • 체인링크
    • 21,810
    • +5.01%
    • 샌드박스
    • 442
    • +6.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