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윤석열 '미군 점령군' 발언 비판에 “색깔 공세 안타깝다”

입력 2021-07-04 20: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정, 사법고시와 달리 영역ㆍ분량 방대…열심히 제대로 공부해야"
"소련군 해방군이라고 표현한 적 없어"

▲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경선 행사 '국민면접'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경선 행사 '국민면접'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자신의 ‘미군 점령군’ 발언에 대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비판에 대해 구태의연한 색깔 공세라며 반박했다.

이 지사는 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해방 후 한반도에 진주한 미군에 대해, 그리고 저의 발언에 대해 잘못 알고 계시다”며 “새로운 정치를 기대했는데 처음부터 구태(의연한) 색깔 공세라니 참 아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윤 전 총장이 사퇴 후 국정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신다는 말씀을 듣고 여러 차례 격려 말씀을 드렸다”며 “국정이라는 것이 20~30권 전문서적으로 공부하는 사법고시와 달리 영역과 분량이 방대해 공부할 것이 참으로 많다. 열심히 제대로 공부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 지사는 “38선 이북에 진주한 소련군과 이남의 미군 모두 점령군이 맞으며 저는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이 해방군이라고 생각한 일도 그렇게 표현한 바도 없다”며 “미군의 포고령에도 점령군임이 명시돼 있고 전 총장님께서 숭상하실 이승만 대통령, 제가 존경하는 김대중 대통령께서도 점령군이라는 표현을 공식적으로 하셨을 뿐 아니라, 일본의 점령군임은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점령군으로 진주했던 미군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철수했다고 6·25 전쟁 당시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 후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해 지금까지 주둔하고 있다”며 “같은 미군이라도 시기에 따라 점령군과 주둔군으로서 법적 지위가 다르고 같을 수 없다는 것은 법학 개론만 배워도 알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지사는 마지막으로 자신에 대한 윤 전 총장의 첫 정치 발언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발언을 왜곡 조작한 구태 색깔 공세라는 점이 참으로 안타깝다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이 지사가 지난 1일 경북 안동 이육사문학관을 찾아 “대한민국이 친일 청산을 못 해 친일 세력들이 미 점령군과 합작했다”고 말했다.

그러자 윤 전 총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원웅) 광복회장의 미군은 점령군, 소련군은 해방군이라는 황당무계한 망언을 집권세력의 차기 유력 대선 후보인 이재명 지사가 이어받았다”며 “셀프 역사 왜곡,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거세게 비난했다. 윤 전 총장이 이재명 지사를 직접 공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전 총장은 “이 지사의 발언에 대해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이나 청와대가 어떠한 입장 표명도 하지 않은 것이 더 큰 충격”이라고 역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976,000
    • +1.06%
    • 이더리움
    • 2,554,000
    • +1.19%
    • 비트코인 캐시
    • 531,500
    • +3.71%
    • 리플
    • 3,156
    • +1.45%
    • 솔라나
    • 220,600
    • +4.06%
    • 에이다
    • 1,028
    • +3.21%
    • 이오스
    • 970
    • +4.53%
    • 트론
    • 349
    • -1.41%
    • 스텔라루멘
    • 406
    • +6.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200
    • +20.69%
    • 체인링크
    • 21,640
    • +3.84%
    • 샌드박스
    • 440
    • +5.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