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예약 시스템 클라우드로 전환한다

입력 2021-07-26 19: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까지 8600억 투입해 공공정보시스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도 대체

▲20일 11시 48분 접속대기자가  (태블릿)
▲20일 11시 48분 접속대기자가 (태블릿)

정부가 2025년까지 8600억 원을 들여 정부 기관 정보시스템 1만여 개를 모두 공공·민간 클라우드로 전환·통합한다.

행정안전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기관별 전산실에서 분산 운영 중인 공공정보시스템 1만9개를 2025년까지 클라우드 기반 통합관리 운영환경으로 전환하는 게 핵심으로, 정부가 ‘디지털 뉴딜’과 ‘디지털 정부혁신 발전계획’ 과제 중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현재 공공정보시스템의 83%가 기관별로 운영 중이며, 전산실 60% 이상은 규모가 작아 장애 대처 역량이 부족하고 보안사고와 재해·재난 발생에도 취약하다. 또 서버·스토리지 등 정보자원의 53%가 내용연수(6년)를 지나 효율성·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이에 공공 정보시스템을 단계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해 보안성과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클라우드 전환이 완료되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시스템 오류 같은 상황에도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1261곳에서 운영하는 정보시스템은 1만5369개다. 이 가운데 자체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 중인 기관 등을 제외하고 1만9개 공공정보시스템이 클라우드로 전환된다. 이 중 5457개(54.5%)는 공공클라우드센터를, 나머지 4552개(45.7%)는 민간클라우드센터를 이용한다. 중앙행정기관 시스템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광주센터에, 공공기관 시스템은 내년 개소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로 전환·통합된다. 투입되는 재정은 2025년까지 총 8600억 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주·국힘, 추경 13.8조 합의…정부안보다 1.6조 증액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검찰, 尹 전 대통령 ‘직권남용’ 불구속기소
  • 한덕수, 총리서 대선주자로...빅텐트 성사·대선 완주 '관건'
  • 되살아난 '사법리스크'…李, 변수 안고 '완주' 전망
  • 5개 재판 중 첫 대법 판단…대통령 당선 땐 재판 멈출까
  • 수출 3개월 연속 '플러스'...트럼프發 관세 정책에 대미 수출은 6.8%↓[종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643,000
    • +2.58%
    • 이더리움
    • 2,647,000
    • +4.34%
    • 비트코인 캐시
    • 533,000
    • +2.3%
    • 리플
    • 3,208
    • +2.99%
    • 솔라나
    • 219,100
    • +7.19%
    • 에이다
    • 1,009
    • +3.59%
    • 이오스
    • 980
    • +2.08%
    • 트론
    • 358
    • +1.7%
    • 스텔라루멘
    • 402
    • +2.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00
    • +3.31%
    • 체인링크
    • 21,330
    • +5.28%
    • 샌드박스
    • 436
    • +4.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