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분기 0.7% 성장, ‘백신 가뭄’이 최대 리스크

입력 2021-07-28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리 경제가 2분기(4∼6월)에 전 분기 대비 0.7% 성장했다. 작년 3분기(2.2%)와 4분기(1.1%), 올해 1분기(1.7%)에 이어 4분기 연속 플러스다. 가라앉았던 민간소비의 회복 추세가 뚜렷했다.

한국은행은 27일 이 같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발표했다. 민간과 정부소비가 크게 늘었다. 민간소비는 의류 등 준내구재, 오락문화·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3.5% 증가했다. 2009년 2분기(3.6%)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재정지출에 따른 정부소비도 3.9% 늘어 1987년 2분기(4.2%)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반면 성장의 핵심동력인 수출이 자동차 등의 부진으로 2.0% 줄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중심으로 0.6% 늘었지만 건설투자가 2.5% 감소했다. 이에 따라 2분기 성장률 기여도는 민간소비 1.6%포인트(p), 정부지출 0.7%p 등 소비가 2.3%p에 이르렀고, 투자는 -0.2%p, 수출 -1.7%p로 나타났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2분기 성장률이 예상에 부합한다”며, “우리 경제 회복력이 견고함을 입증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은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 4.0%를 달성할 수 있는 흐름으로 분석하고 있다. 1분기 1.7% 성장에 2분기 0.7%를 반영한 상반기 성장률이 3.9% 수준이고, 3∼4분기에도 이 추세를 유지하면 가능하다는 계산이다.

그럼에도 3분기 경제가 급격히 냉각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갈수록 확산하는 코로나19가 최대 리스크다. 4차 대유행은 진정될 기미가 없고, 오히려 델타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되면서 계속 번진다. 7월 들어 신규 확진자는 3주일째 1000명대 이상이다. 비수도권 확산세가 더 거세지면서 전국적 대유행의 위기 국면이다. 정부는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에 이어, 비수도권도 3단계로 방역대응 수위를 높였지만 사태가 잡힐 수 있을지 의문이다.

백신 보급은 지지부진하기만 하다. 물량 확보 차질로 접종계획이 계속 어긋난다. 현재 백신접종률은 1차 32.9%, 2차 13.4%에 그친다. 정부가 3분기 이내 국민 70%에 대한 1차 접종과, 11월까지 2차 접종 완료로 집단면역을 이룬다는 목표는 물 건너가고 있다.

코로나 터널을 언제 빠져나올 수 있을지, 국민 일상이 멈춰진 고강도 거리두기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가늠할 수 없다. 살아나던 민간소비와 서비스업 위축이 불보듯 뻔하다.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으면서 3분기 성장률이 주저앉을 공산이 크다.

결국 성장세를 이어가는 관건은 백신 보급이다. 코로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다. 접종 확대의 기반이 충분하고, 국민들도 고통을 참으면서 정부의 강화된 방역조치에 어느 나라보다 적극 협조하고 있다. 그런데 백신이 제대로 조달되지 않아 방역 전선이 자꾸 흐트러지고 있다. 경제 정상화도 멀어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687,000
    • +2.96%
    • 이더리움
    • 2,585,000
    • +6.07%
    • 비트코인 캐시
    • 519,500
    • +1.27%
    • 리플
    • 3,218
    • +4.21%
    • 솔라나
    • 217,900
    • +4.81%
    • 에이다
    • 1,015
    • +7.98%
    • 이오스
    • 967
    • +3.64%
    • 트론
    • 351
    • -0.85%
    • 스텔라루멘
    • 387
    • +4.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390
    • +2.16%
    • 체인링크
    • 21,440
    • +8.28%
    • 샌드박스
    • 430
    • +4.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