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집값 상승은 글로벌 현상”

입력 2021-08-04 14: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 4.3%·미국 9.6%·프랑스 5.9% ↑

▲서울 노원·도봉구 일대에 들어선 아파트 단지들 모습. (연합뉴스)
▲서울 노원·도봉구 일대에 들어선 아파트 단지들 모습. (연합뉴스)
부동산 가격 상승세는 다른 나라에서도 관측되는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연구원은 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글로벌 부동산 통계지도’를 공개했다. 이 지도는 OECD가 발표하는 부동산 관련 통계를 시각화해 표현한 것으로 국토연구원이 작년 상반기부터 6개월마다 공개하고 있다. 이번 지도는 작년 4분기까지의 통계자료를 토대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실질주택가격지수 1년 변동률은 4.3%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미국 9.6% △캐나다 8.0% △독일 8.0% △프랑스 5.9% △영국 5.3% 등으로 우리나라보다 높다.

실질주택가격지수는 물가를 반영한 집값 지수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선진국에서도 양적 완화 정책 등으로 집값이 많이 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나라마다 다른 기준으로 실질주택가격지수가 만들어지지만 그 변동률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정을 참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질주택가격지수의 5년간 변동률을 기준으로도 한국은 2.4%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같은 기간 미국은 28.5%, 캐나다는 31.0% 올랐고 포르투갈과 헝가리는 각 45.7%, 45.3% 상승했다. 국가별 임차가격지수의 1년 변동률을 보면 한국은 0.6%로 △네덜란드 2.9% △미국 2.5% △영국 1.7% △독일 1.3% 등 다른 선진국보다 낮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위기의 세계 명품업계] 겹악재 속 성장 지켜낼까
  • ‘RNA로 뭉친’ K바이오, 원료생산부터 기술수출까지 글로벌 생태계 구축
  • 26조 원 체코 원전 수주 제동…프랑스 이의제기에 계약 하루 전 중지 [종합]
  • 포스코 다음주 임단협 돌입…업황 악화로 올해도 긴장감
  • 바르셀로나 탈락…챔스 결승전 대진표 윤곽 드러나
  • 삼성, 초슬림 '갤S25 엣지' 이달 출격…흥행 이어갈까
  • 대선 주자 “주택 공급 확대” 한목소리…문제는 '디테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10: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932,000
    • +2.23%
    • 이더리움
    • 2,608,000
    • +1.05%
    • 비트코인 캐시
    • 534,000
    • +5.85%
    • 리플
    • 3,062
    • +1.09%
    • 솔라나
    • 210,500
    • +1.54%
    • 에이다
    • 971
    • +3.08%
    • 이오스
    • 996
    • -0.7%
    • 트론
    • 349
    • -1.69%
    • 스텔라루멘
    • 375
    • +1.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600
    • -0.66%
    • 체인링크
    • 19,880
    • +2.63%
    • 샌드박스
    • 392
    • -0.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