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법, 경영책임자 의무내용 불분명”…경제계, 공동건의서 정부 제출

입력 2021-08-2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총 등 36개 경제단체 및 업종별 협회 “시행령 제정안 보완 불가피”

▲한국경총 회기 (사진제공=경총)
▲한국경총 회기 (사진제공=경총)

경제계가 정부가 마련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정안이 시행될 경우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며 보완을 요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36개 경제단체 및 업종별 협회는 23일 공동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정안’에 대한 경제계 공동건의서를 관계부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경총 등은 “정부가 마련한 시행령 제정안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 모두 경영책임자 의무내용이 포괄적이고 불분명해 의무주체인 기업이 명확한 기준을 파악하기 어렵고, 정부의 자의적 판단만 우려된다”라고 지적했다.

경제계는 경영책임자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의무내용 구체화를 요구했다. 불명확하고 모호하여 형사처벌의 구성요건으로 부적절한 문언은 삭제해야 하며, 전문인력 배치 규정은 기존 법률들과 상충되므로 수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산업보건의(의사)를 사업장마다 채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안전·보건 관계법령’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특정하고, 안전보건교육 대상은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경영책임자로 한정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와 함께 경영책임자 의무준수 이행에 필요한 유예기간(6개월~1년)을 부칙에 마련하고, 경영책임자 개념, 의무내용, 책임범위 등에 대한 규정 신설 마련을 요구했다.

이 밖에 직업성 질병자 기준에 6개월 이상 치료와 같은 중증도 기준을 마련하고, 주유소와 충전소는 사업특성을 고려해 공중이용시설 적용기준을 재설정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동근 경총 부회장은 “정부의 시행령 제정안은 중대재해 예방의 실효성 없이 경영책임자만 형사처벌을 받는 부작용 발생이 우려되는 만큼, 산업계 의견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반영해야 할 것”이라면서 “법률개정 없이는 포괄적이고 모호한 경영책임자 의무와 과도한 처벌은 근본적 문제 해결이 불가하므로, 이른 시일 내에 중대재해처벌법의 재개정을 검토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유심 대란' 유심보호서비스 앱·모바일 대기시간 무려 168시간?
  • 대구 함지산 산불 진화율 82%…잔여화선 2㎞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2:3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93,000
    • +0.97%
    • 이더리움
    • 2,596,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525,500
    • +4.47%
    • 리플
    • 3,303
    • +1.66%
    • 솔라나
    • 212,800
    • -0.19%
    • 에이다
    • 1,016
    • +0.3%
    • 이오스
    • 991
    • +1.12%
    • 트론
    • 357
    • +0.85%
    • 스텔라루멘
    • 407
    • -1.9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00
    • -2.99%
    • 체인링크
    • 21,700
    • +2.12%
    • 샌드박스
    • 438
    • +2.5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