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빙하기’ 돈 굴리기] 메타버스 핵심 기업에 투자…KB증권, KB글로벌메타버스경제증권자투자신탁[주식]

입력 2021-08-25 10: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특집] 메타버스 핵심 기업에 투자…KB증권, KB글로벌메타버스경제증권자투자신탁[주식]

초월이나 가상을 뜻하는 ‘메타’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가상세계를 일컫는 ‘메타버스’는 4차 산업혁명, 전세계 언택트 문화 확산 등에 따라 성장이 가속화되며 글로벌 메가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KB증권은 글로벌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메타버스 시장과 높은 사업적 연관성이 있거나 관련 핵심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주식에 선별 투자하는 KB글로벌메타버스경제투자신탁[주식]을 판매하고 있다.

KB글로벌메타버스경제 펀드는 메타버스 경제가 발전할수록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다.

핵심 종목을 발굴하기 위해 메타버스의 구현 및 운영과 관련된 기술 혹은 콘텐츠 보유 기업 및 관련 매출 발생 기업을 선별하고, 투자 조건에 부합하는 미국, 한국, 중국, 일본의 200~300여 개 유니버스 중 국가 및 산업별 분산도를 고려해 최종 30~50개 종목에 투자한다.

이 펀드의 주요 투자 종목으로는 인프라 영역에서 5G 통신칩이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장악하고 있는 퀄컴과 아마존, 가상 현실과 연결해주는 하드웨어 분야의 마이크로소프트,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선두기업인 로블록스, 디지털 콘텐츠를 공급하는 하이브와 같은 회사들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전세계가 메타버스 경제에 주목하는 이유는 소통과 연결을 쉽게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디지털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간의 유기적 결합이 일어나고, 산업 전방위적 영역에서 생산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기술로 활용되어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수길 KB증권 자산관리솔루션부장은 “KB글로벌메타버스경제펀드는 4차 산업혁명과 전세계 언택트 문화 확산과 맞물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메타버스 경제의 핵심 기업에 투자하는 만큼 미래 핵심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 - KB증권
▲자료 - KB증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곧 발표, 일부 유연성 있을 것...애플도”
  • 언니 푸바오처럼…루이바오·후이바오도 독립할 준비 [해시태그]
  • 파생상품 ETF 출시한 리플…트럼프 밈코인은 80% 급락 [글로벌 코인마켓]
  •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혐의 전면 부인..."국민참여재판 원치 않아"
  • 이빨 빠진 타이거즈, 공포의 4연전 어떻게 넘기나…산 넘어 산 [주간 KBO 전망대]
  • 제로 아닌 탄산음료, 한 캔에 각설탕 11개 들어간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 아닌 '불꽃야구'로…방송 플랫폼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45,000
    • +0.76%
    • 이더리움
    • 2,408,000
    • +4.65%
    • 비트코인 캐시
    • 489,000
    • -1.71%
    • 리플
    • 3,106
    • -0.06%
    • 솔라나
    • 190,000
    • +2.04%
    • 에이다
    • 938
    • +0.75%
    • 이오스
    • 896
    • -0.55%
    • 트론
    • 368
    • +1.66%
    • 스텔라루멘
    • 353
    • +0.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00
    • -1.09%
    • 체인링크
    • 18,890
    • +2.44%
    • 샌드박스
    • 382
    • +1.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