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올해 10월 신용·체크카드를 2분기 월평균 사용액보다 3% 이상 많이 쓰면 1인당 최대 월 10만 원을 돌려주는 사업을 추진한다. 9월 중에는 비대면 외식에 한 해 소비쿠폰을 다시 지급한다.
2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0월 상생소비지원금(카드 캐시백) 사업이 시행될 예정이다. 상생소비지원금 사업은 신용·체크카드를 2분기 월평균 사용액보다 3% 이상 많이 사용하면 1인당 월 10만 원까지 초과분의 10%를 환급해주는 사업이다.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위축된 소비를 진작하고, 소비 효과가 소상공인, 골목상권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고자 마련됐다.
가령 올해 2분기(4∼6월)에 신용·체크카드(법인카드 제외)로 월평균 100만 원을 쓴 사람이 10월에 153만 원을 사용하면 103만 원을 뺀 나머지 50만 원의 10%인 5만 원을 돌려받는다. 골목상권 소비 유도를 위해 백화점,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명품전문매장, 유흥주점 등 일부 업종·품목에 쓴 돈은 소비 실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정부는 온라인 거래 중 배달앱을 통한 소비는 인정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고 기술적인 부분 등을 검토 중이다. 기업형 슈퍼마켓에서 쓴 돈도 소비 실적으로 인정된다. 캐시백 한도는 1인당 월별 10만 원이다. 정부 계획대로 2개월간 시행하면 최대 2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또 배달앱을 통해 2만 원 이상의 음식을 4번 주문한 소비자에게 1만 원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비대면 외식쿠폰 지급을 재개한다. 재개 시점은 9월 둘째 주나 셋째 주로 검토 중이다.
관련 뉴스
비대면 외식쿠폰 혜택을 받으려면 배달앱을 통해 2만 원 이상 음식을 온라인 결제로 4번 주문해야 한다. 4번째 주문 시 이용 카드나 은행의 결제계좌로 1만 원 캐시백을 받게 된다.
혜택이 적용되는 배달앱은 배달의민족, 요기요, 위메프오, 배달특급, 쿠팡이츠, 페이코오더, 배달의 명수, 띵동, 먹깨비, 카카오톡 주문하기, 배달올거제, 딜리어스, 어디go, 일단시켜 등 14개다. 선착순으로 환급을 진행하며 예산 소진 때까지 지급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