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셀트리온 3형제 “3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 전망”에 동반 급락

입력 2021-10-05 14: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셀트리온의 3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이란 전망에 급락세다. 이에 셀트리온제약과 셀트리온헬스케어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5일 오후 2시 31분 현재 셀트리온은 전일대비 2만6000원(-10.48%) 하락한 22만2000원에 거래 중이다. 셀트리온제약과 셀트리온헬스케어도 각각 -8%, -10.91% 급락했다.

셀트리온 3형제의 급락세는 셀트리온의 3분기 실적 전망이 악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키움증권에 따르면 3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20% 감소한 4413억 원, 영업이익은 28% 줄어든 1757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셀트리온의 실적 전망치는 시장 컨센서스를 각각 23%, 28%씩 하회한 것으로 예상되는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각각 19.6%와 28.4%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셀트리온은 3분기에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이 예상된다”며 “3분기 체결된 공급계약은 지난 분기 대비 4% 증가한 2715억 원으로 아조비 CMO(위탁생산), 램시마IV, 트룩시마 위주로 계약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키움증권은 셀트리온의 예상 실적에 렉키로나의 매출을 반영하지 않았다. 지난 1일 MSD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3상 중간발표를 감안해 보수적으로 본 결과다. MSD의 경구용 치료제는 복용 편리성이 높고, 항체 치료제인 렉키로나보다 대비 낮은 약가가 예상된다는 판단이다. 램시마SC도 하반기에 추가 매출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허 연구원은 “램시마SC는 예상보다 둔화된 침투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며 “판매 매출 대비 재고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돼 하반기 매출 추정에서 제외했다”고 말했다.

이어 “진단키트 계약은 마진이 낮고 고마진인 램시마SC 및 렉키로나 매출이 부진한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면서 “하지만 경제활동 재개(리오프닝)에 따른 램시마SC의 우호적 영업환경 개선은 여전히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 트럼프 “반도체 관세율 곧 발표, 일부 유연성 있을 것...애플도”
  • 언니 푸바오처럼…루이바오·후이바오도 독립할 준비 [해시태그]
  • 파생상품 ETF 출시한 리플…트럼프 밈코인은 80% 급락 [글로벌 코인마켓]
  •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혐의 전면 부인..."국민참여재판 원치 않아"
  • 이빨 빠진 타이거즈, 공포의 4연전 어떻게 넘기나…산 넘어 산 [주간 KBO 전망대]
  • 제로 아닌 탄산음료, 한 캔에 각설탕 11개 들어간다 [데이터클립]
  • '최강야구' 아닌 '불꽃야구'로…방송 플랫폼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06,000
    • +1.28%
    • 이더리움
    • 2,363,000
    • +2.07%
    • 비트코인 캐시
    • 469,400
    • -5.55%
    • 리플
    • 3,117
    • +1.43%
    • 솔라나
    • 188,700
    • +2.5%
    • 에이다
    • 921
    • -0.75%
    • 이오스
    • 893
    • -0.56%
    • 트론
    • 365
    • -0.54%
    • 스텔라루멘
    • 345
    • -1.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60
    • -0.1%
    • 체인링크
    • 18,500
    • +0.98%
    • 샌드박스
    • 377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