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외무상도 한국 정부에 책임 돌려
13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기시다 총리는 참의원 본회의에서 의원들과 정책 현안에 관한 얘기를 나눴다.
이 자리에서 한일 징용 문제에 관한 질문을 받은 기시다 총리는 “양국 관계는 매우 엄중한 상황에 놓였다”며 “관계를 되돌리기 위해 한국 정부에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을 내놓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일 양국은 위안부와 강제징용 문제 등을 놓고 연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지난달 한국 재판부는 강제노역 피해자 할머니들이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낸 상표ㆍ특허권 특별현금화(매각) 명령 신청을 받아들이고 회사에 자산 매각을 명령했다.
관련 뉴스
판결 직후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은 “자산 현금화는 양국에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에 시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한편 기시다 총리는 취임 후 아직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국 정상과의 통화를 미루는 것에 대해 기시다 총리가 이달 말 치르는 일본 총선을 의식한 결과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