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제강지주 3분기 영업익 296%↑…북미 산업 수요 강세 효과

입력 2021-11-15 14: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아제강 영업이익 361억, 매출 3639억…각각 105.3%, 30.3% 증가

세아제강지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약 300% 급증했다.

15일 세아제강지주는 3분기 영업이익 860억 원 기록해 지난해보다 296.2% 증가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35.0% 증가한 7236억 원을 기록했다.

호실적의 배경에는 북미 오일ㆍ가스 및 건설ㆍ인프라 산업의 수요 강세가 존재한다. 에너지용 강관 및 배관 자재 주요 제품의 판매가 실적을 견인했다.

또 현지 공급망 병목현상 심화 등으로 강관 가격 강세가 지속함에 따라 북미법인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됐다.

국내 건설 산업의 탄탄한 수요 지속 및 글로벌 가전 산업 호황으로 배관 재(세아제강), 구조 관(동아스틸), 강판(세아씨엠) 등 자회사 주요 제품의 고수익성이 유지되면서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큰 폭 증가했다.

계열사별로 보면 세아제강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361억 원, 매출 3639억 원을 기록했다. 각각 지난해보다 105.3%, 30.3% 증가한 수치다.

국내·외 주요 수요산업 전반의 업황 강세로 전년 대비 제품 판매량 및 매출액 증가한 덕분이다.

세아제강 측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고수익 제품(에너지용 강관) 판매량 확대, 원재료 상승 및 환율 하락에 대비한 판매단가 인상 등 적극적 영업 전략 추진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라고 설명했다.

국제유가 강세와 미국 인프라 예산 법안 통과,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증가로 강관·구조물 판매 및 수익성 호조세가 지속할 것으로 세아제강지주 측은 전망했다.

또 중국의 철강감산 및 수출규제 정책 지속, 글로벌 원자재 가격 강세 등으로 철강재 가격 강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중국 정부의 가격 안정 의지, 공급망 병목현상 완화, 미국의 유럽 무역확장법 232조 완화 등이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세아제강지주는 수요 강세, 공급제약 및 가격변동 위험이 공존하는 만큼, 시장지배력에 기초한 판매가격 정책과 전략적인 국외 생산 정책으로 건전한 수익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975,000
    • +0.01%
    • 이더리움
    • 2,684,000
    • -0.33%
    • 비트코인 캐시
    • 454,000
    • +0.33%
    • 리플
    • 3,066
    • +1.09%
    • 솔라나
    • 174,800
    • -0.51%
    • 에이다
    • 969
    • +0.31%
    • 이오스
    • 1,242
    • +5.79%
    • 트론
    • 351
    • +1.45%
    • 스텔라루멘
    • 386
    • -0.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80
    • +0.44%
    • 체인링크
    • 19,230
    • -0.26%
    • 샌드박스
    • 389
    • +1.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