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S부문 일부 조직개편… 경계현 사장, 임직원에 첫 메시지

입력 2021-12-14 17: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파운드리사업 콘트롤타워 '코퍼레이트 플래닝실' 신설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신임 사장 (사진제공=삼성전기)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신임 사장 (사진제공=삼성전기)
삼성전자가 소비자가전(CE)과 IT·모바일(IM) 부문을 DX(Device Experience) 부문으로 통합한 데 이어 핵심 사업인 DS부문도 일부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0일 자로 DS 부문 조직을 일부 개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반도체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먼저 파운드리사업부 내에 '코퍼레이트 플래닝(corporate Planning)실'을 신설했다. 이 조직은 사업전략과 고객발굴, 생산능력 운영 등 주요 사항을 전반적으로 총괄하는 콘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스템LSI사업부에서는 SOC개발실과 커스텀SOC개발실을 SOC개발실로 통합했다. 메모리사업부에서는 미래 기술 확보를 위해 D램개발실과 플래시개발실 아래 각각 ‘선행개발팀’을 신설했다.

또 최고기술경영자(CTO) 조직 반도체연구소 공정개발실 아래 미래 기술을 개발하는 ‘차세대공정개발팀’을 신설했다. 생산기술연구소는 ‘설비기술연구소’로 명칭을 바꿨다.

글로벌인프라총괄은 글로벌 제조&인프라총괄로 재편했으며 부문 직속으로 혁신센터를 신설하고, 그 아래 디지털 전환을 전담할 DX팀을 두기로 했다.

이날 경계현 DS부문 신임 사장은 사내 게시판을 통해 "미래준비를 위한 혁신을 가속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인 시스템 반도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조직개편 의미를 설명했다.

경 사장은 또 임직원들에게 세 가지 당부 사항을 전달했다. 먼저 임직원들이 소신 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임직원 개개인의 권한과 책임을 명확하게 해 조직 내 모든 사람이 책임감을 느끼고 일할 수 있게 해달라고 주문했다.

또 모든 조직이 데이터에 근거해 주변 조직, 사업부와 최대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하자고 당부했다.

경 사장은 15일에는 취임 이후 처음으로 직원들과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시간도 갖는다.

경 사장은 삼성전기 사장 시절 매주 목요일 직원들과 자유롭게 소통하는 프로그램인 '썰스데이 토크'(썰톡·Thursday Talk)를 운영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도 이를 벤치마킹한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하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이름 공모를 진행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428,000
    • +3.28%
    • 이더리움
    • 3,226,000
    • +15.3%
    • 비트코인 캐시
    • 570,000
    • -2.4%
    • 리플
    • 3,298
    • +5.43%
    • 솔라나
    • 237,100
    • +7.48%
    • 에이다
    • 1,093
    • +7.47%
    • 이오스
    • 1,190
    • +1.02%
    • 트론
    • 367
    • +4.26%
    • 스텔라루멘
    • 415
    • +7.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750
    • +3.84%
    • 체인링크
    • 22,270
    • +6.3%
    • 샌드박스
    • 457
    • +1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