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인상, 연쇄적 물가 상승 우려…"물가 상승률 정부 전망 웃돌 듯"

입력 2021-12-28 16: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기요금 10%, 가스요금 16% 인상…생산원가 상승으로 공산품 가격 인상 불가피

▲소비자물가지수 2020년 기준 개편 결과' 발표 다음 날인 23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마스크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소비자물가지수 2020년 기준 개편 결과' 발표 다음 날인 23일 오후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마스크를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서민 가계에 비상이 걸렸다.

28일 산업통산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에 따르면, 내년 전기 요금은 4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4.9원씩 인상된다. 재생에너지의무발전제도(RPS)에 따른 기후환경요금도 4월부터 2원 오른다. 인상 폭은 약 10%다. 여기에 도시가스 요금도 5월부터 16%가량 인상된다.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만으로 전반적인 물가가 급등하진 않는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기·도시가스 등 두 품목의 가중치(총지수 1000)는 각각 15.5, 12.7이다. 전기 요금이 10%, 도시가스 요금이 16% 오를 때 소비자물가지수는 0.36%포인트(P) 오른다. 문제는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른 연쇄적인 물가 상승이다. 국내 뿌리산업 중소기업들의 제조원가에서 전기 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15~30%에 이른다. 공산품 전반의 물가 상승이 불가피하다.

서비스 물가도 비상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방역조치로 억눌려 있던 외식 등 개인서비스 물가는 최근 기저효과와 수요 회복으로 오름 폭이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른 원가 상승으로 추가로 오름 폭이 확대될 수 있다.

전문가들도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연쇄적인 물가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요금을 올리기가 쉽지 않았다고 해도 내년 전기·가스 요금 인상 폭은 꽤 크다”며 “문제는 물건을 만드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요금이 오르기 때문에 생필품까지 가격이 오르게 되고, 결국 국민이 체감하는 실생활 물가도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플레이션 상황이 일시적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내년에도 계속될 것”이라며 “정부 전망보다는 내년 물가 상승률이 높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사회보험료도 오른다. 고용노동부는 28일 국무회의에서 내년 7월 1일부터 고용보험료율(실업급여 보험료율)을 0.2%P 인상하는 내용의 고용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용자와 부담하는 실업급여 보험료율은 각각 0.9%(총 1.8%)로 0.1%P 오르게 된다. 이번 보험료율 인상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악화한 고용보험기금 재정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결정됐다.

고용보험료율 0.1%P 인상의 효과는 크지 않다. 근로자 입장에서 월 소득이 200만 원이라면 보험료 부담이 2000원 느는 것이다. 하지만, 내년 인상되는 건 고용보험료뿐 아니다. 국민건강보험료율은 6.99%로 0.13%P, 장기요양보험료율은 건보료율 대비 12.27%로 0.75%P 오른다.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에 사회보험료 인상에 따른 임금 하락이 겹치는 이중고다. 여기에 기업들과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제조원가 상승까지 삼중고를 겪게 됐다. 이는 저소득층에 더 큰 타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가구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가계수지는 26만8000원 적자였다. 2분위(하위 20~40%)는 흑자액이 45만 원에 불과했다. 가계수지는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에서 소비지출을 뺀 값이다. 가계수지가 0에 가까운 계층에선 당장 공공요금 인상만으로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아지는’ 상황이 돼버리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을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 한 달 뒤 공개될 반도체 관세 예의주시…'中 한정 고관세' 시나리오 무게
  • 단독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두고 의총협 “‘3058+α’ 등 3개 안 ‘고심’"
  • ‘미국 민감국가명단’ 결국 한국 포함돼 발효…긴밀 협력 차질 가능성
  • 결혼 안 하거나 망설이는 이유, 남녀 달랐다 [데이터클립]
  • ‘강력한 안정감’ 프리미엄 전기 SUV 왕좌 노리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ET의 모빌리티]
  • "얼마 전에 끝났는데, 또?"…내 '아이돌'이 월드투어 도는 이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280,000
    • +1.29%
    • 이더리움
    • 2,368,000
    • -2.59%
    • 비트코인 캐시
    • 480,500
    • -2.77%
    • 리플
    • 3,130
    • +0.61%
    • 솔라나
    • 192,200
    • -0.77%
    • 에이다
    • 926
    • -1.17%
    • 이오스
    • 883
    • -2.54%
    • 트론
    • 360
    • -3.74%
    • 스텔라루멘
    • 351
    • -1.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700
    • -1.55%
    • 체인링크
    • 18,280
    • -3.43%
    • 샌드박스
    • 373
    • -3.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