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올해 10대 분야 추진과제 발표..."탄소중립 예산 2배로"

입력 2022-02-10 16: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반기 '납품단가 연동제' 시범사업 운영

▲중기부 올해 10대 분야 추진과제. (자료제공=중소벤처기업부)
▲중기부 올해 10대 분야 추진과제. (자료제공=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예산을 지난해의 두 배로 늘린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납품단가 연동제를 상반기에 시범 도입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성과 점검 및 10대 분야 추진과제'를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해 10일 ‘제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논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10대 지원방안 내용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탄소중립·ESG 중소기업 지원 확대 △대·중소기업 상생 및 공정경쟁 생태계 조성 △스마트공장 등을 통한 디지털 전환 △연구개발(R&D) 지원 강화 △구조개선 촉진 △지역 중소기업 혁신 △수출·판로 개척 △자금공급 △맞춤형 인력 지원 등이다.

중기부는 원자재 수급영향 최소화를 위해 중소기업의 금융·세제·정보·물류 등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다. 납품단가 연동제 시범사업을 상반기에 진행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할 계획이다.

중소기업 탄소중립 예산을 약 2배로 확대(작년 2397→올해 4744억 원)하고 ESG 지원도 강화한다. 탄소중립 관련 법령도 마련해 중소기업 공정·경영의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ESG 체크리스트를 세분화 하고, 관련 교육·컨설팅·수출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자상한기업과 협력이익공유제 확산을 통해 상생생태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연구개발에도 중점을 둔다. 디지털뉴딜과 소부장 등 중점투자 분야 신규 연구개발(R&D)지원을 지난해 4394개→올해 6664개로 확대한다.

중소·중견 수출금융과 수출바우처 지원을 확대하고,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공공조달 시장의 공정성·투명성을 개선해 국내·외 판로를 더 넓힐 예정이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도 184조 원 수준으로 늘린다.

중기부 관계자는 "중소제조기업 중 ’성장 정체 중소기업‘ 비중이 30.9%에 달한다"며 "중소기업 활력 제고와 성장동력화를 위한 10대 분야 과제 추진이 올해 경제 회복과 도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97,000
    • -0.06%
    • 이더리움
    • 2,642,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517,000
    • -1.9%
    • 리플
    • 3,166
    • +0.51%
    • 솔라나
    • 208,500
    • -1.18%
    • 에이다
    • 1,001
    • +0.5%
    • 이오스
    • 1,034
    • +0%
    • 트론
    • 356
    • +0.28%
    • 스텔라루멘
    • 389
    • +0.5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50
    • -1.58%
    • 체인링크
    • 20,310
    • -1.41%
    • 샌드박스
    • 402
    • -4.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