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침공] S&P, 러 신용등급 'CCC-'로 강등...8단계 대폭 조정

입력 2022-03-04 08: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등급 전망 ‘부정적 제시’...추가 강등도 시사
국제 신평사 잇달아 러 잠재적 부도 위험 경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미국 뉴욕 본사에 회사 로고가 보인다. 뉴욕/AP뉴시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미국 뉴욕 본사에 회사 로고가 보인다. 뉴욕/AP뉴시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러시아의 국가 신용등급을 대폭 추가 강등했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S&P는 러시아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BB+에서 CCC-로 8단계 하향조정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부과된 서방의 대규모 경제 제재로 인해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이 커졌다는 이유에서다.

기존 등급이었던 BB+는 투자가 부적격하다는 의미인데, CCC-는 투자하면 원금과 이자 상환 가능성이 의심스럽다는 평가로 국가부도를 뜻하는 등급인 D보다 두 단계 위다.

그러면서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추가로 강등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S&P는 이미 지난달 25일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로 내렸다.

S&P는 성명을 내고 "이번 등급 하향은 러시아의 디폴트 위험을 상당히 높일 조처들이 취해진 데 따른 것"이라면서 "이러한 조처 중에는 루블화 가치를 보호할 목적으로 러시아 당국이 도입한 자본통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신용평가사들은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면서 러시아의 잠재적 부도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전날 피치는 러시아의 신용등급을 종전 'BBB'에서 'B'로 낮췄고 무디스도 'Baa3'에서 'B3'로 하향했다.

한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는 전날 신흥국(EM) 지수에서 러시아를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MSCI는 오는 9일 장 마감 후 기준으로, 러시아를 EM에서 빼내 단독(stand alone) 시장으로 재분류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융사고 'CEO 제재' 별도 심의기구 만든다['책임의 각인' 증권사 책무구조 上]①
  • 세계 곳곳서 무력 충돌...K방산, 수주에 잰걸음
  • 미·이란, 4차 고위급 핵 협상 마무리…“입장 가까워지고 있어”
  • 저속노화, 식단 하나로 OK?…더 중요한 ‘이것’ [지금은 저속노화 시대②]
  • D램 3사, 가격 줄인상…관세 덮치는 하반기엔 더 오를듯
  • ‘롯데손보 콜옵션 후폭풍’ 금융당국, 보험사 킥스 비율 '예의주시'
  • 이재명 ‘과잉 경호’ 논란…'기호 3번 신한국당' 한덕수? [후보와 세끼]
  • 이혼 하자마자 연락 두절⋯양육비 안 주는 '배드 페어런츠'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298,000
    • +0.18%
    • 이더리움
    • 3,497,000
    • -2.59%
    • 비트코인 캐시
    • 570,000
    • -4.6%
    • 리플
    • 3,307
    • -3.36%
    • 솔라나
    • 241,000
    • -1.91%
    • 에이다
    • 1,123
    • -3.85%
    • 이오스
    • 1,292
    • -1%
    • 트론
    • 371
    • +0.82%
    • 스텔라루멘
    • 428
    • -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550
    • -4.88%
    • 체인링크
    • 23,740
    • -1.37%
    • 샌드박스
    • 499
    • -2.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