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청년소통TF “대한민국 리모델링의 핵심은 지방 경쟁력 강화”

입력 2022-04-13 1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공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실
▲제공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는 청년소통TF는 지난 10일과 12일 각각 부산청년센터와 박태준만화회사를 찾아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의견을 들었다.

장예찬 인수위 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을 열고 “인수위 청년소통TF는 지방에서 자라고 교육받은 청년들이 계속 그 지역에서 일자리를 얻어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공간의 제약 없이 일할 수 있는 콘텐츠IP 등 신산업 분야 육성에 대한 의견을 청년들에게 직접 들었다”고 말했다.

수도권 집중과 지역 불균형 문제는 여전하다. 비수도권 청년에 대한 일자리·임금·교육·직업훈련·인프라 등 심각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은 제조업이 일자리를 견인했으나 주력 제조업의 쇠퇴하면서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대학 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취업해 머무르는 비율은 수도권이 87.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방별로는 충청(35.3%), 강원ㆍ제주(37.7%), 대구ㆍ경북(53.1%) 등으로 수도권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장 대변인은 “대한민국 리모델링의 핵심은 ‘지방 경쟁력 강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다. 지방에 좋은 일자리가 많아지면 집값, 교육, 의료 등 지역 간 격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지방 청년들이 지방에서 원하는 일자리를 얻고, 꿈을 펼칠 수 있는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방 청년들이 일자리 때문에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청년 일자리 정책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청년소통TF는 전국 각 대학의 취업센터와 연계되는 ‘청년도약 디지털 베이스캠프’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장 대변인은 “공간의 제약 없이 어디서든 일할 수 있는 SW산업의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추진하겠다”며 “기업의 ESG 활동을 확산해 기업과 지방 청년이 쉽게 매칭될 수 있는 ‘신기술 경험 플랫폼 구축’을 통한 지방 청년의 현장 경험 참여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또 중소벤처기업부의 ‘컴업(COMEUP) 2022’ 등 취업 및 스타트업 관련 박람회의 지방 개최를 추진해 지역 스타트업도 대기업과 협업할 계획이다.

웹툰뿐만 아니라 음악, 영상 등 콘텐츠 분야 전반의 ‘불법 다운로드 차단 패스트트랙(가칭)’을 통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해외 판권 판매 지원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협력+경쟁’ 시대…산업 생태계 新 생존 키워드 [2025 ‘코피티션’ 上]
  • 전 세계 中 공세 '방어막'…무방비국 된 韓 [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 下]
  • 의대생 수업 복귀 ‘미지수’…강의실 ‘텅텅’ [의대정원 ‘동결’ 그 후]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폴더블폰 전쟁 뛰어든 애플… 삼성의 '위기와 기회'
  • “트럼프 투자 요구할라” 셈법 복잡해진 조선사들
  • '이혼숙려캠프' 나온 전 축구선수 강지용 사망…향년 35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71,000
    • +5.64%
    • 이더리움
    • 2,569,000
    • +12.87%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5.35%
    • 리플
    • 3,208
    • +7.43%
    • 솔라나
    • 216,700
    • +8.24%
    • 에이다
    • 998
    • +11.01%
    • 이오스
    • 965
    • +6.51%
    • 트론
    • 356
    • +0%
    • 스텔라루멘
    • 384
    • +9.0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390
    • +6.99%
    • 체인링크
    • 20,980
    • +11.95%
    • 샌드박스
    • 426
    • +10.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