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청년소통TF “대한민국 리모델링의 핵심은 지방 경쟁력 강화”

입력 2022-04-13 16: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공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실
▲제공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는 청년소통TF는 지난 10일과 12일 각각 부산청년센터와 박태준만화회사를 찾아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의견을 들었다.

장예찬 인수위 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을 열고 “인수위 청년소통TF는 지방에서 자라고 교육받은 청년들이 계속 그 지역에서 일자리를 얻어 안정적으로 생활하고 공간의 제약 없이 일할 수 있는 콘텐츠IP 등 신산업 분야 육성에 대한 의견을 청년들에게 직접 들었다”고 말했다.

수도권 집중과 지역 불균형 문제는 여전하다. 비수도권 청년에 대한 일자리·임금·교육·직업훈련·인프라 등 심각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은 제조업이 일자리를 견인했으나 주력 제조업의 쇠퇴하면서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대학 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취업해 머무르는 비율은 수도권이 87.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방별로는 충청(35.3%), 강원ㆍ제주(37.7%), 대구ㆍ경북(53.1%) 등으로 수도권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장 대변인은 “대한민국 리모델링의 핵심은 ‘지방 경쟁력 강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다. 지방에 좋은 일자리가 많아지면 집값, 교육, 의료 등 지역 간 격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지방 청년들이 지방에서 원하는 일자리를 얻고, 꿈을 펼칠 수 있는 진정한 지방시대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방 청년들이 일자리 때문에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청년 일자리 정책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청년소통TF는 전국 각 대학의 취업센터와 연계되는 ‘청년도약 디지털 베이스캠프’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장 대변인은 “공간의 제약 없이 어디서든 일할 수 있는 SW산업의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추진하겠다”며 “기업의 ESG 활동을 확산해 기업과 지방 청년이 쉽게 매칭될 수 있는 ‘신기술 경험 플랫폼 구축’을 통한 지방 청년의 현장 경험 참여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또 중소벤처기업부의 ‘컴업(COMEUP) 2022’ 등 취업 및 스타트업 관련 박람회의 지방 개최를 추진해 지역 스타트업도 대기업과 협업할 계획이다.

웹툰뿐만 아니라 음악, 영상 등 콘텐츠 분야 전반의 ‘불법 다운로드 차단 패스트트랙(가칭)’을 통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해외 판권 판매 지원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80,000
    • -1.77%
    • 이더리움
    • 2,666,000
    • -3.82%
    • 비트코인 캐시
    • 447,800
    • -0.95%
    • 리플
    • 3,012
    • -4.2%
    • 솔라나
    • 172,100
    • -7.72%
    • 에이다
    • 954
    • -5.17%
    • 이오스
    • 1,173
    • -0.17%
    • 트론
    • 344
    • -2.27%
    • 스텔라루멘
    • 383
    • -3.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710
    • -4.55%
    • 체인링크
    • 19,000
    • -4.86%
    • 샌드박스
    • 380
    • -4.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