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응 시 2090억 파운드, 무대응 시 3340억 파운드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이 기후변화를 주제로 진행한 사상 첫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가 나왔다. 영국 금융권은 2050년까지 지구온난화가 가장 심하게 진행되고 이에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30년간 총 3340억 파운드(약 529조 원)의 손실을 볼 것이라고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영란은행은 자국 은행과 보험 대기업 19개사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관련 첫 스트레스 테스트를 벌여 이날 결과를 내놓았다. 영란은행은 세 가지 온난화 대응 시나리오에 따라 금융기관이 받을 영향을 조사했다. 녹색금융협의체(NGFS)가 만든 기준에 따라 앞으로 30년간 온난화 대응이 조기 마련과 지연, 대응 없음으로 이뤄질 때 각각의 상황이 금융기관의 사업과 재무 상태에 미칠 파급력을 분석했다.
최악 시나리오에서 은행은 600억 파운드, 보험사는 2740억 파운드 손실이 각각 예상됐다. 기후변화 대책이 전무할 시 지구 온도는 2050년까지 산업혁명 전에 비해 3.3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은행의 경우 대출처의 사업 환경이 악화할 수 있다. 보험업계는 온난화로 자연재해가 더 빈번해져 보험금 지급 부담이 한층 커지게 된다.
온난화 대응이 이뤄지더라도 손실 규모는 작지 않다. 대책이 조기 실시될 때 금융기관 손실은 2090억 파운드, 지연될 경우에는 2890억 파운드로 예측됐다. 샘 우즈 영란은행 부총재는 “전 세계 각국 정부가 빠르게 대책을 마련하더라도 기후변화는 은행과 보험사에 손실을 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은행은 온난화 대책이 늦게 마련될수록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기업의 대출이 늘어나면서 손실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됐다.
관련 뉴스
영란은행은 이번 분석이 정책에 바로 적용되기엔 이르다고 보고 있다. 다만 스트레스 테스트는 ‘넷제로(탄소 배출량 0)’를 위한 정책 마련을 앞당기고, 투자처가 탄소 배출 산업에서 재생에너지 같은 청정산업으로 바뀔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용평가사 피치는 “이번 영란은행의 스트레스 테스트가 지난해 프랑스에서 이뤄진 연구보다 탄소 배출 비용과 온난화 강도를 더 강하게 설정했다”며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테스트”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영란은행은 금융 시스템이 이러한 손실을 잘 흡수할 수 있을 거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관련 리스크에는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이어갈 것을 촉구했다.
이번 테스트에 참여한 금융사는 HSBC홀딩스, 바클레이스, 로이드뱅킹그룹, 내셔널와이드빌딩소사이어티 등 대형 은행과 아비바, 리갈앤드제너럴, 알리안츠, AIG 등 보험사들이다. 개별 업체와 관련된 분석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