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소득하위 20%, 가처분소득 42% 식비로 지출

입력 2022-06-07 13: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상위 20%의 3배 넘어..고물가 지속에 서민 부담↑

▲서울의 한 대형마트 식용유 코너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조현욱 기자 gusdnr8863@)
▲서울의 한 대형마트 식용유 코너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조현욱 기자 gusdnr8863@)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는 가처분소득의 42%를 식료품, 외식 등 식비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84만7039원으로 이중 식료품·외식비(35만7754원) 명목 지출이 차지한 비중은 42.2%로 조사됐다.

집에서 소비하는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은 25만1783원, 외식 등 식사비 지출은 10만5971원이었다.

저소득 가구가 전체 소득 중 세금 등 필수 지출을 뺀 가처분소득의 절반 가까운 금액을 식비로 지출한 것이다.

42.2% 지출 비중은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평균 식비 지출 비중(13.2%)을 3배 넘게 웃도는 수치이며 전체 가구 평균(18.3%)보다 훨씬 높다.

기재부는 가계의 생계비 지출이 늘어나는 가운데 식품·외식 등 생활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서민과 저소득층의 실질 구매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식료품·비주류 음료 소비자물가지수는 109.32(2020년=100)로 작년 동기 대비 4.1% 상승했다.

음식·숙박 서비스 물가도 6.0% 올랐으며 이중 음식 서비스(6.1%)는 숙박 서비스(3.1%)보다 더 큰 폭으로 올랐다.

문제는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갈수록 심회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5.4% 상승하며 2008년 8월(5.6%) 이후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치솟은 것은 2008년 9월 이후 처음이다. 특히 외식 물가는 7.4% 올라 1998년 3월(7.6%) 이후 24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밥상 물가 품목인 가공식품도 7.6% 상승했고, 축산물도 돼지고기(20.7%), 수입 쇠고기(27.9%), 닭고기(16.1%) 등을 중심으로 12.1% 올랐다.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 저소득층 등 서민의 부담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특히 물가가 계속 오르면 가계가 소비를 줄이고 이는 결국 내수 침체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시총 두 배 ‘빅딜 효과’…K-제약·바이오, 빅파마와 거래로 성장동력 확보
  • 지방 금융 3사, ‘지역 기업 리스크’에 1분기 실적 희비 교차
  • ‘퇴임’ 문형배 “정치적 교착상태 해소하려면 헌재 결정 존중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14:3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483,000
    • +0.32%
    • 이더리움
    • 2,281,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474,000
    • -2.39%
    • 리플
    • 2,980
    • -1.72%
    • 솔라나
    • 193,400
    • +0.83%
    • 에이다
    • 885
    • -1.23%
    • 이오스
    • 902
    • +1.92%
    • 트론
    • 357
    • +0.56%
    • 스텔라루멘
    • 349
    • +0.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90
    • +1.45%
    • 체인링크
    • 18,190
    • +0%
    • 샌드박스
    • 364
    • +1.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