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원생명과학, 경구용 염증성 치료제 ‘제누졸락’ 작용 기전 국제 학술지 게재

입력 2022-06-16 13: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진원생명과학CI
▲진원생명과학CI

진원생명과학은 개발 중인 경구용 저분자 항염증 치료제 GLS-1027(국제 일반명: Zenuzolac, 제누졸락)의 작용 기전을 국제 학술지 ‘Translational Medicine Communications’에 게재하게 됐다고 16일 밝혔다.

해당 학술지는 세계적 과학잡지인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의 자매지인 BMC에서 발간한 저널이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Characterization of a small molecule modulator of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으로 진원생명과학의 R&D 그룹 주도로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 및 이탈리아 카타니아 대학교와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회사측은 “이 연구에서 염증을 매개하는 다양한 면역세포 유형에 대한 GLS-1027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GLS-1027이 면역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성숙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 유형의 성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자연발증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모델동물인 NOD(Non-obese diabetic) 마우스 모델에서 GLS-1027을 투여한 결과 싸이토카인 스톰을 유도해 염증을 일으키는 혈중 IL-17과 TNFα가 현저하게 감소돼 이와 관련된 당뇨병 발병율의 감소와의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진원생명과학은 과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면역조절제인 GLS-1027을 코로나19 감염증에 대한 경구용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과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에서 임상 2상을 진행 하고 있다.

박영근 진원생명과학 대표이사는 “코로나19치료에 실패하거나 효과가 미미한 약물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코로나19의 효과적인 치료제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GLS-1027이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 치료에 효율적 대안이 될 수 있어 그 잠재력이 매우 우수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275,000
    • +4.62%
    • 이더리움
    • 2,384,000
    • +8.22%
    • 비트코인 캐시
    • 442,700
    • +7.22%
    • 리플
    • 2,956
    • +8.76%
    • 솔라나
    • 172,800
    • +8.75%
    • 에이다
    • 921
    • +7.72%
    • 이오스
    • 1,000
    • -0.89%
    • 트론
    • 358
    • +3.77%
    • 스텔라루멘
    • 350
    • +5.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50
    • +6.41%
    • 체인링크
    • 18,380
    • +8.95%
    • 샌드박스
    • 377
    • +5.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