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본부가 부풀려 제공한 정보로 가맹사업자가 영업손실을 입었을 경우 가맹본부가 배상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2부(주심 민유숙 대법관)는 A 씨 등이 B 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고 19일 밝혔다.
A 씨 등은 2015년 액세서리 전문점 가맹사업을 하는 B사와 계약을 체결하고 점포를 운영했지만 점포 임대료 등 지출비용을 매출로 충당하지 못해 영업손실이 발생하자 소송을 냈다.
법원에 따르면 B 사는 가맹계약을 상담하고 체결하는 과정에서 A 씨 등의 점포 예정지에서 1년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매출액 범위를 ‘예상매출액 산정서’로 제공했다. B 사는 가맹사업법상 가장 인접한 5개 가맹점의 매출환산액을 기준으로 확정한다고 했다.
관련 뉴스
그러나 실제로 제공한 산정서에는 직전 사업연도 매출환산액이 낮은 가맹점 일부를 임의로 제외하고 다른 가맹점을 포함시켜 예상매출액 범위를 확정했다. 이에 따라 A 씨 등은 1㎡당 370만~500만 원 더 크게 책정된 매출환산액을 받아들게 됐다. 결국 A 씨 등은 점포를 운영하면서 순익을 내지 못했다.
1심은 B 사의 책임을 인정하면서 임대차보증금, 권리금, 가맹금 등을 비롯해 영업손실도 배상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반면 2심은 B 사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은 있지만 영업손실은 손해배상범위에서 제외했다. 2심 재판부는 “가맹점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비용이나 손실이 발생할지 여부는 기본적으로 가맹점주의 운영능력이나 운영내용, 시장상황 등 외부적인 요인에 좌우된다”며 “B 사의 불법행위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법원은 영업손실도 손해배상범위에 포함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A 씨 등의 영업손실 손해는 객관적으로 상당한 정도로 예측 가능한 것으로서 B 사의 불법행위와 상당인과관계 있는 통상손해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지적했다. 또 “특별한 사정으로 인한 손해라고 하더라도 그러한 특별한 사정의 존재에 대해 B 사의 예견가능성이 있었다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B 사가 제공한 정보 때문에 A 씨 등이 적어도 영업손실은 없을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영업을 했고, 정보가 부풀려진 탓에 매출 안전성이 상당히 과장되는 효과가 있었던 점 등을 판단 근거로 삼았다. 또 재판부는 가맹점을 운영하기만 하면 가맹본부가 A 씨 등의 영업손실과 관계없이 이익을 얻을 수 있어 B 사가 허위·과장 정보를 제공해 A 씨 등이 가맹점을 운영하도록 했다고 봤다.
대법원 관계자는 “가맹본부의 허위·과장 정보제공으로 가맹계약을 체결하게 된 가맹사업자가 입은 영업손실도 가맹본부가 배상해야 할 손해배상액에 포함된다는 점과 손해액 인정방법을 명확히 선언해 가맹희망자, 가맹사업자 보호를 두텁게 했다”고 판결 의미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