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밀 재배면적 1년 새 32%↑…전문 단지 조성·수매 확대 등 효과

입력 2022-06-29 16: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1년부터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 시행…정부 "생산량·자급률 높아질 것"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조성된 국산 밀 생산단지에서 농부들이 밀을 수확하고 있다. (뉴시스)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조성된 국산 밀 생산단지에서 농부들이 밀을 수확하고 있다. (뉴시스)

밀 재배면적이 1년 새 30% 이상 늘어났다. 정부는 전문 단지 조성과 수매 확대 등 육성 정책이 효과를 나타났다며 생산량과 자급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맥류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밀 재배면적은 8259㏊로 전년 6224㏊ 대비 32.7%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전남 3277㏊, 전북 2852㏊, 광주 892㏊, 경남 805㏊ 순으로 집계됐다.

밀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맥류 품목별 순위에서도 2020년 쌀보리, 맥주보리, 겉보리, 밀 순에서 올해는 쌀보리에 이어 밀이 두 번째로 올라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1년부터 시행한 '밀 산업 육성 정책'이 밀 재배를 늘리는데 큰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했다.

농식품부는 2021년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세우고 지난해 39곳이었던 밀 전문 생산단지를 올해 51곳으로 늘렸다. 수확기 건조·저장 시설 지원은 지난해 2곳에서 올해 4곳으로 확대했고, 정부보급종자 50% 할인공급도 지난해 1300톤에서 올해 1900톤으로 증가시켰다.

또 국산 밀 가격을 안정시키고 수요를 늘리기 위해 정부 수매 물량은 지난해 8000톤에서 올해 1만7000톤으로 늘리고 제분·가공지원 예산 16억 원도 마련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밀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국산 밀 생산량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밀 자급률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밀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전문 생산단지 및 건조·저장시설 지원을 강화해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정부 비축을 확대해 자급률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52,000
    • -0.24%
    • 이더리움
    • 2,642,000
    • +0.76%
    • 비트코인 캐시
    • 537,500
    • +5.08%
    • 리플
    • 3,304
    • -1.58%
    • 솔라나
    • 214,700
    • -2.28%
    • 에이다
    • 1,030
    • -1.06%
    • 이오스
    • 993
    • +0.81%
    • 트론
    • 357
    • +0%
    • 스텔라루멘
    • 403
    • -3.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750
    • -4.46%
    • 체인링크
    • 21,770
    • +0.79%
    • 샌드박스
    • 434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