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윤핵관의 다음 타깃을 알아보자

입력 2022-07-06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일환 정치경제부 정치팀장

‘윤핵관’이 정확히 누구인지 아무도 알려준 적은 없지만, 대체로 머릿속에 떠올리게 되는 인물들은 몇 있다. 이들에게 궁금한 것들이 여럿 있는데, 우선 ‘핵심관계’의 대상인 윤석열 대통령 본인의 생각이다. 윤 대통령도 이들을 측근으로 생각하고 신임하는지, 아니면 핵관들 스스로만 떠들고 다니는 표제어에 불과한지다. 원조 윤핵관으로 불리는 모 의원은 윤 대통령의 대선 출마 과정에서부터 깊이 관여해왔다고 하니 그렇다 치자. 나머지는 언제, 무엇을 계기로 윤 대통령과 그리 가까워졌는지 아는 사람이 드물다.

가장 궁금한 것은 이들은 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못 잡아 먹어서 안달인지다. 그것도 자신들이 주군처럼 떠받드는 윤 대통령의 국정동력을 갉아먹어 가면서까지. 윤 대통령이 힘을 잃으면 자신들도 오리알 신세가 될 것을 뻔히 아는데 대체 왜 이런 자살공격을 시도하는 것일까. 어쩌면 이들이 진짜 원하는 것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닐까. 이준석 대표는 또 왜 이러는 걸까. 적당히 타협하고 협상해서 덮고 가도 될 것 같은 일을 왜 내부 총질, 분탕질 소리를 들어가며 밀어붙이다 스스로 위기에 몰리는 상황까지 끌고온 것일까.

궁금증을 풀기 위해 얽히고설킨 국민의힘 내부의 권력 구도를 좀 파보자. 우선 윤핵관으로 불리는 의원들의 특징은 이렇다. 모 의원은 같은 지역구에서 부자가 대물림을 하며 국회의원을 지내온 집안 출신이다. 다른 의원도 비슷하다. 아버지가 국회의원을 지낸 지역구에서 떨어져나온 곳이 그의 지역구다. 이곳은 전직 대통령이 출마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한 번도 다른 당에 의원 자리를 내준 적 없는 PK(부산경남)지역이다. 또 다른 의원은 강남 3구에 지역구를 두고 있다. 이들의 지역구를 거론하는 이유는 대통령은 바꿔도 지역구 의원은 바꾸지 않는 곳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어서다. 윤핵관과 이준석 대표가 정면충돌한 결정적 이유이기도 하다. 대선과 지선을 거치는 과정에서 삐걱대긴 했어도 봉합된 상태를 유지하던 양쪽의 관계가 파열되기 시작한 것은 이 대표가 ‘공천개혁’을 거론하면서부터다. 음서제처럼 대를 이어온 밥그릇을 건드리겠다고 했으니 가만히 앉아 당할 리가 없다.

둘 사이의 대결국면을 바라보는 유권자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은 혈압이 오른다. ‘승장’인 이준석 대표가 누가 봐도 뻔한 방식으로 토사구팽을 당하면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바라보는 여론이 나빠진다는 것은 자명하다. 다음 총선까지는 아직 2년이나 남았다고는 해도, 이준석 없는 국민의힘이 중도층과 젊은층의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자신하는 사람은 드물다. 이대로 가면 국민의힘이 다수당의 위치를 되찾기는커녕 21대 총선보다 더 처참한 패배를 당할 것이라 예언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윤핵관이라고 이를 모를 리 없다. 그런데도 이들이 무리수를 감행하는 것은 당은 대패해도 자신은 살아남는다는 계산이 깔려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고 더불어민주당이 전국을 휩쓸던 21대 총선에서도 꿋꿋이 살아남은 윤핵관들이다. 그러니 다음 총선에서도 이들은 공천만 받으면 당선은 따놓은 당상이라고 봐도 무리가 아니다. 그런데 0선의 새파란 당대표가 공천시스템을 손보겠다니 이게 말인가 당근인가. 원내1당이 아니라 300석을 모조리 국민의힘이 쓸어 담는들 자신이 국회의원이 아니면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

이쯤 되면 이준석의 정치적 생명을 뒤흔들고 있는 윤핵관의 칼끝이 곧 어디로 향할지 짐작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최재형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은 이준석 대표의 거취와 상관없이 공천개혁 작업에 매진하겠다고 했다. 3일 열린 첫 워크숍에서 혁신위는 2024년 총선 승리를 위해 인재영입, 지도체제, 당원교육, 여의도연구원과 사무처 혁신방안 등 당 개혁방안을 두루 논의했다. 그런데 윤핵관들은 일찌감치 이런 혁신위를 ‘이준석의 사조직’으로 규정하고 이 대표와 운명을 함께할 것이라는 프레임을 짜뒀다. 7일 국민의힘 윤리위원회의 결정이 내려지고 이준석 대표의 입지에 변화가 생긴다면 윤핵관들은 이를 근거로 최 위원장을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윤 대통령보다도 한발 앞서 문재인 정부를 정면으로 들이받은 최재형 위원장의 뚝심은 추호도 의심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대는 ‘나만 아니면 돼’ 그 자체 윤핵관들이다. 여차하면 윤 대통령조차 내팽개치지 말란 법이 없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집권부터 탄핵까지의 과정에서 보여준 ‘친박’과 ‘진박’의 행보를 떠올려 보면 윤핵관의 다음 스텝을 내다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듯하다. whan@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큐큐큐큐
    날카롭게 핵심을 찌르십니다. 기사 잘보고갑니다.
    2022-07-07 16:09
  • 홀롤로로롤로
    맞습니다. 공천개혁이 성공하면 국민의힘은 분명 총선에서 압도적으로 대승할겁니다. 그런데 저 구태들은 왜 반발할까요? 반발하는 놈들 보세요 박수영,김정재,장제원,정진석,안철수,배현진 등등 전부 다 텃밭이거나 수도권에서도 보수강세여서 자기들 당선이 매우 유력한 사람들입니다. 그런데 이제와서 공천개혁하자니까 자기가 잘릴가봐 두려운거죠.
    2022-07-06 20:45
  • 아직은바깥
    우와, 원더풀! 바른 소리 정기자님, 오랜만에 대면하는 참언론인의 모습이라서, 기사를 보자마자 감사 인사 올리려고 회원가입에, 구독 신청도 했습니다 ^^권력맛에 취해서, 아둔한 백성들을 이용하는 잔혹한 정치 공작질 패거리들은반드시 민심의 철퇴를 맞게 될 것입니다.어쩔수 없이 윤석열에 기표했던 수많은 이준석 대표 지지자들은천박.비열한 윤과 패거리들의 몰락의 시간을 지켜보겠습니다.
    2022-07-06 17:50
  • 하음천
    티비/종편 시사정치한다고 나오는 수많은 가짜패널들과 다르게 제대로 스피커를 하시네요.
    2022-07-06 16:42
  • 너구리왕
    백번 맞는 말입니다. 자기들 밥그릇 챙기느라 국정이고 뭐고 관심도 없죠 저런 인간들 쳐낼 시스템이 반드시 정착하길 바래서 이준석 대표를 지지하는겁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2022-07-06 16:35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378,000
    • -3.21%
    • 이더리움
    • 2,198,000
    • -6.23%
    • 비트코인 캐시
    • 406,100
    • -3.54%
    • 리플
    • 2,702
    • -7.21%
    • 솔라나
    • 157,000
    • -4.38%
    • 에이다
    • 845
    • -6.11%
    • 이오스
    • 1,002
    • -10.46%
    • 트론
    • 343
    • -3.11%
    • 스텔라루멘
    • 327
    • -7.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40
    • -2.95%
    • 체인링크
    • 16,870
    • -3.49%
    • 샌드박스
    • 359
    • -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