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특집] ‘e편한세상 삼천포 오션프라임’…직주근접 우수

입력 2022-07-20 1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e편한세상 삼천포 오션프라임 투시도.(자료제공=DL이앤씨)
▲e편한세상 삼천포 오션프라임 투시도.(자료제공=DL이앤씨)
DL이앤씨는 경남 사천시 동금동 일대에 ‘e편한세상 삼천포 오션프라임’을 이달 분양한다.

e편한세상 삼천포 오션프라임은 지하 4층~지상 49층, 4개 동, 전용면적 84~138㎡형 총 677가구로 구성된다.

단지는 비규제지역인 사천시에 들어서 청약자에게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 청약통장 가입 후 6개월 이상, 만 19세 이상, 면적별 예치금을 충족하면 세대주뿐 아니라 세대원도 1순위 자격이 되며 유주택자도 1순위 청약이 가능하다. 분양권 전매 제한도 없다.조정대상지역의 경우 전용 85㎡ 이하 주택형은 전체 물량의 25%만 추첨제로 공급된다. 반면 비규제지역은 전용 85㎡ 이하 물량의 60%가 추첨제로 공급돼 청약 가점이 낮은 수요자들에게도 좋은 기회다.

단지는 경남 사천0분대에 이동할 수 있어 광역 교통망 이용도 쉽다.

생활 환경도 좋다. 홈플러스 삼천포점부터 이마트 사천점, 하나로마트 삼천포농협본점, 삼천포 중앙시장 등 다양한 생활 편의시설이 가깝다. 삼천포종합운동장과 사천실내수영장, 삼천포체육관, 사천시문화예술회관 등 다양한 문화시설도 이용할 수 있다.

단지 반경 270m 내 노산초가 위치해 도보로 통학할 수 있으며 삼천포중앙여중, 삼천포중, 삼천포중앙여고, 삼천포고, 삼천포여고, 삼천포공고 등이 가깝다. 망산공원과 통창공원을 비롯해 남일대해수욕장 등 여가 시설을 즐길 수 있다.

e편한세상 삼천포 오션프라임은 인근 주요 업무지역으로의 출퇴근이 수월한 직주근접 입지로 미래가치도 높다. 사천시에는 사천제1산업단지와 사천제2산업단지, 종포산업단지, 향촌2산업단지가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이곳에서만 1만 3000여명의 종사자가 근무 중이다. 아울러 한국항공우주산업(KAI)를 비롯해 현재 조성 중인 경남 항공국가산업단지(사천지구) 등을 단지에서 차량으로 30분 내 이동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협력+경쟁’ 시대…산업 생태계 新 생존 키워드 [2025 ‘코피티션’ 上]
  • 전 세계 中 공세 '방어막'…무방비국 된 韓 [무역전쟁 유탄, 저가 쓰나미 下]
  • 의대생 수업 복귀 ‘미지수’…강의실 ‘텅텅’ [의대정원 ‘동결’ 그 후]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폴더블폰 전쟁 뛰어든 애플… 삼성의 '위기와 기회'
  • “트럼프 투자 요구할라” 셈법 복잡해진 조선사들
  • '이혼숙려캠프' 나온 전 축구선수 강지용 사망…향년 35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14: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771,000
    • +5.49%
    • 이더리움
    • 2,590,000
    • +14.1%
    • 비트코인 캐시
    • 516,500
    • +4.28%
    • 리플
    • 3,204
    • +7.01%
    • 솔라나
    • 216,200
    • +8.21%
    • 에이다
    • 1,001
    • +11.47%
    • 이오스
    • 971
    • +6.24%
    • 트론
    • 356
    • +0%
    • 스텔라루멘
    • 384
    • +8.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710
    • +7.22%
    • 체인링크
    • 20,900
    • +11.35%
    • 샌드박스
    • 428
    • +9.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