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응천 문화재청장 “청와대만 지키는 기구 아니다”

입력 2022-07-27 14: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문화재청이 청와대만 지키는 기구는 아니다. 규제 개혁 등 문화재 정책 추진과 관련한 내용을 많이 말씀드렸는데, 청와대를 위한 기자간담회로 흐르는 것 같아 아쉽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27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27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27일 서울 중구에 있는 한국의집에서 ‘새 정부 문화재 정책 방향 및 핵심과제’ 발표를 위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최 청장은 문화재 관리체계 개편, 현장 중심 문화재 보존 관리, 세계 속 우리 유산 가치 확산 등 윤석열 정부의 문화재 정책 추진 방향 및 청사진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기자들의 질문은 최근 논란이 불거진 청와대 활용 방안과 관련한 내용에 집중됐다.

최 청장은 기자들의 질문에 “문화재청은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청와대 관리 주체가 누가 되는 건 중요하지 않다. 죄송한 얘기지만 해보니까 관리를 맡은 쪽이 오히려 손해다. 예산과 인력이 엄청나게 투입돼 굉장히 힘들다”며 솔직한 심정을 밝혔다.

최 청장은 “힘든 상황이지만 청와대 개방 이후 140만 명 가까이 되는 국민이 찾았다”며 “권역 내 문화재 보존 및 복원을 위해 문화재청과 대통령실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 등 3주체가 협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간 문화재청은 청와대를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등록해 보존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최근 청와대를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구상을 뒷받침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이에 문화재청 노조와 문화재위원회가 반발 성명을 냈는데, 최 청장은 “노조가 문화재청 입장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문화부처 내에서 두 목소리를 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청와대 활용 방안에 관한 정부 내 엇박자가 지속하자 문체부는 26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청와대 활용방안 추진에 정부 내 혼선은 없다”고 일축했다.

문체부는 “지난 21일 대통령께 보고한 청와대의 복합문화예술공간화 방안은 문체부가 주도하면서 문화재청, 대통령실 관리비서관실과 협의하여 추진하기로 이미 정리된 바 있다”고 밝혔다. 이어 “문체부는 청와대 활용방안의 짜임새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문화재청과 관리비서관실과 긴밀히 협의하고, 대통령실이 운영하는 청와대 관리·활용 자문단이 마련하는 내용을 충분히 반영해 세부 계획을 더욱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575,000
    • +4.49%
    • 이더리움
    • 2,594,000
    • +10.67%
    • 비트코인 캐시
    • 517,000
    • +3.52%
    • 리플
    • 3,269
    • +7.85%
    • 솔라나
    • 219,200
    • +7.24%
    • 에이다
    • 1,018
    • +9.94%
    • 이오스
    • 970
    • +5.9%
    • 트론
    • 353
    • +0%
    • 스텔라루멘
    • 392
    • +8.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410
    • +5.04%
    • 체인링크
    • 21,780
    • +11.92%
    • 샌드박스
    • 433
    • +7.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