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롯데건설과 CCU 시설 활용해 고순도 질소 개발 나서

입력 2022-08-02 09: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황민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연구소장(왼쪽에서 세번째)과 김금용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장(왼쪽에서 네번째)이 탄소포집용 기체분리막 활용 고순도 질소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MOU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케미칼)
▲황민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연구소장(왼쪽에서 세번째)과 김금용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장(왼쪽에서 네번째)이 탄소포집용 기체분리막 활용 고순도 질소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MOU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기체분리막 CCU(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시설을 활용한 고순도 질소 생산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롯데케미칼과 롯데건설은 지난 27일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에서 탄소포집용 기체분리막 활용 고순도 질소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MOU를 맺고 각 사가 보유한 핵심역량과 기술을 바탕으로 상호 유기적인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행사에는 황민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연구소장과 최영헌 이노베이션센터장, 김금용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장과 석원균 기술연구기획팀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고순도 질소 생산 공정개발 △실증 시설의 설치 및 운영 △녹색인증 △사업화 적용 검토를 추진한다.

석유화학 공정에는 제품 생산 시 배가스(내연 기관 등에서 불필요하게 되어 배출하는 가스)가 발생하며, CCU 기술은 일반적으로 배출되는 배가스를 수집하여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활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배가스에는 이산화탄소도 포함되어 있지만 질소 역시 70%가량 포함되어 있다.

롯데케미칼은 배가스에 포함된 질소를 모아 고순도화 함으로써 이를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추후 CCU 설비 설치 시 경제성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고순도 생산 기술을 통해 확보한 질소를 공장에서 활용하거나 외부에 판매할 예정이다.

황민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연구소장은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CCU 적용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라며 “롯데케미칼 기체분리막 CCU기술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금용 롯데건설 기술연구원장은 “이번 MOU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양사의 기술역량 강화와 협력의 계기가 마련됐다”라며 “탄소중립을 위한 신규과제 발굴과 투자를 늘려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96,000
    • +0.43%
    • 이더리움
    • 2,536,000
    • -1.4%
    • 비트코인 캐시
    • 506,500
    • -1.65%
    • 리플
    • 3,182
    • -0.19%
    • 솔라나
    • 214,900
    • -0.6%
    • 에이다
    • 1,052
    • +4.99%
    • 이오스
    • 970
    • +1.68%
    • 트론
    • 356
    • +1.71%
    • 스텔라루멘
    • 398
    • +4.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080
    • +0.5%
    • 체인링크
    • 21,360
    • +0.14%
    • 샌드박스
    • 432
    • +1.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