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북] 향후 1년간 집값 떨어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입력 2022-09-2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가격상승 높았던 경기·인천·대전·세종 순…제주는 추가 하락 위험 낮아

▲세종시 도담동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박민웅 기자 pmw7001@)
▲세종시 도담동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박민웅 기자 pmw7001@)

향후 1년간 집값이 떨어질 위험이 가장 높은 곳으로 경기, 인천, 대전, 세종이 꼽혔다. 반면, 제주는 추가 하락위험이 과거보다 줄어든 것으로 예측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일명 골든북) 2022년 9월호’에 포함된 ‘이슈분석 : 지역별 주택시장 동향 및 리스크 평가’ 자료에 따르면 향후 기준금리 추가 인상 등으로 주택가격 하락위험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별로도 이같이 차이를 보일 것으로 진단했다.

이는, 실제 17개 시도별 데이터를 이용해 주택가격 하방리스크를 분석한 결과(HaR 기법)로, 2004년부터 올 6월까지 18년6개월간의 집값분포를 기반으로 하위 5%에 해당하는 충격이 발생할 경우를 산출한 결과다. 이들 지역 모두 HaR값이 마이너스(-) 2와 3사이에 분포했다. HaR 값 마이너스(-) 2~3 수준은 통상적으로 가격하락 위험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3을 넘을 경우엔 이례적으로 크게 하락하는 상황으로 해석하고 있다.

(한국은행, 한국부동산원)
(한국은행, 한국부동산원)
이들 지역은 이미 올 8월 현재 고점 대비 하락률이 가장 높은 지역들이다. 세종(2021년 5월 대비 -7.93%)이 가장 크게 떨어졌고, 이어 대구(2021년 11월 대비 -3.37%), 대전(2021년 12월 대비 -1.29%), 인천(2022년 2월 대비 -1.21%), 경기(2022년 1월 대비 -0.79%) 순을 기록 중이다. 아울러 집값 상승기에도 월평균 1%대 전후의 높은 상승세를 기록한 지역이었다는 점도 특징이다.

반면, 제주는 추가 하락위험이 낮을 것으로 예측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협이 완화되면서 외지인들의 매입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권준모 한은 지역경제조사팀 과장은 “주택가격 고평가, 차입여건 악화 등 주택시장 하방요인이 공급부진 등 상방요인보다 우세했다. 주택가격 하방리스크 또한 지난해 말부터 빠르게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역별로도 상승기 중 높은 가격상승률을 기록했던 지역에서 하방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유심 대란' 유심보호서비스 앱·모바일 대기시간 무려 168시간?
  • 대구 함지산 산불 진화율 82%…잔여화선 2㎞
  • 특허가 사업 판가름…K바이오, 특허 전쟁 격화
  • 부활하는 브라질 국채…신용도·환차손 경고음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11: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793,000
    • +1.53%
    • 이더리움
    • 2,593,000
    • +1.57%
    • 비트코인 캐시
    • 526,000
    • +5.84%
    • 리플
    • 3,308
    • +2.41%
    • 솔라나
    • 213,000
    • +1.24%
    • 에이다
    • 1,011
    • +1.3%
    • 이오스
    • 986
    • +1.02%
    • 트론
    • 358
    • +1.42%
    • 스텔라루멘
    • 408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950
    • -2.15%
    • 체인링크
    • 21,670
    • +3.63%
    • 샌드박스
    • 436
    • +3.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