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유승민·나경원 밀어내기...윤심은 어디로?

입력 2022-10-19 11:3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反)유승민 전선 형성...“유승민 1위 여론 기형적”
나경원 전 의원 밀어내기 돌입...나흘 사이 관직 2개 임명
전당대회 시기 내년 3~4월 가능성 높아져
권영세·원희룡 하마평에 이어 한동훈 차출설까지 등장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유승민 전 의원이 29일 오전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에서 ‘무능한 정치를 바꾸려면'을 주제로 특강하고 있다. 2022.09.29. lmy@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유승민 전 의원이 29일 오전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에서 ‘무능한 정치를 바꾸려면'을 주제로 특강하고 있다. 2022.09.29. lmy@newsis.com

차기 전당대회를 앞두고 ‘윤심(尹心)’이 다시 등장했다. ‘친윤계’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당협 정비에 나선 가운데 유력 당권주자인 나경원 전 의원이 기후환경대사에 임명되면서 ‘윤심’을 중심으로 교통정리가 시작됐다는 분석이다.

반(反)유승민 전선은 형성됐다. 여권 인사들은 일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적합도 1위를 달리는 유승민 전 의원에 대해서 견제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김재원 전 최고위원은 18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정당 지지도를 조사한 여론조사의 경우 국민의힘 지지자들의 여론은 유승민 의원이 아주 뒷순위에 있다”며 “민주당 지지자는 50% 훨씬 넘게 나오는 그런 기형적인 여론”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차기 당권주자인 나경원 전 의원에 대해서는 밀어내기에 돌입한 모양새다. 대통령실은 18일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나 전 의원을 대외직명 대사인 기후환경대사에 임명했다고 전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나 전 의원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했다. 나흘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정부 고위직을 받게 된 것이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나 전 의원의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1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를 방문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1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를 방문하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그렇다면 ‘윤심은 어디로 향하는가’라는 물음이 남는다. 지금은 적절한 후보군을 물색하는 단계로 보인다. 한 여권 관계자는 “지금은 확실하게 누군가를 밀어주는 것보다는 고심 중인 것 같다”고 말했다. 전당대회가 당초 예정된 2월이 아닌 3~4월이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다양한 후보군을 물색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론이다.

이에 원외 인사들까지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권영세 통일부 장관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김병민 비상대책위원은 18일 시사IN 유튜브 ‘정치 왜 그래?’에 출연해 권 장관 차출설에 대해 “정치는 의외성이 있다”며 “전당대회를 어떻게 흥행시킬 수 있을 것인가, 건강한 경쟁과 흥행을 위해서 여러 가능성을 같이 모색하는 건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등판설도 제기된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을 타개하기 위한 카드로 한 장관을 소환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미 ‘한동훈 정계 입문설’은 정치권에서 뜨거운 감자가 된 지 오래다. 유상범 의원은 18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한 장관이 가진 안정감과 명쾌한 논리가 국정 운영 지지에 상당한 영향력을 주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며 한 장관의 차출설에 힘을 실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433,000
    • +2.68%
    • 이더리움
    • 2,265,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496,000
    • +2.14%
    • 리플
    • 2,998
    • +0.44%
    • 솔라나
    • 196,200
    • -0.86%
    • 에이다
    • 896
    • +0.45%
    • 이오스
    • 918
    • -3.97%
    • 트론
    • 353
    • -0.56%
    • 스텔라루멘
    • 366
    • +3.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30
    • +0.34%
    • 체인링크
    • 18,850
    • -2.78%
    • 샌드박스
    • 393
    • +1.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