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3%, 2년전보다 전셋값↓…소규모·구축 위주 '역전세' 우려 ↑

입력 2022-10-24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세가격(시세) 변동에 따른 수도권 아파트의 가구 비중. (자료제공=부동산R114)
▲전세가격(시세) 변동에 따른 수도권 아파트의 가구 비중. (자료제공=부동산R114)

전체 수도권 아파트 중 약 3%가 2년 전보다 시세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시장 약세가 계속되면서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지는 '역전세'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10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278만4030가구의 전셋값을 2년 전과 비교한 결과 가격이 하락한 가구 비중은 전체의 2.8%(7만8412가구)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전셋값이 2년 전보다 내린 아파트의 비중은 인천(6.0%, 36만7936가구 중 2만2192가구), 경기 2.5%(139만253가구 중 3만4292가구), 서울 2.1%(102만5841가구 중 2만1928가구) 순이었다. 인천은 올해 들어 4만 가구 이상의 아파트가 입주하고, 집값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중구, 동구의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시세 역전이 발생했다. 경기는 외곽 지역, 서울은 대단지 등에서 역전세 우려가 나타났다.

연식 구간별로 살펴보면 30년 초과가 33.5%(2만6248가구)로 가장 높았다. 이어 △21~30년 이하 31.3%(2만4534가구) △11~20년 이하 23.2%(1만8198가구) △5년 이하 7.8%(6100가구) △6~10년 이하 4.2%(3332가구) 순으로 높았다.

단지 규모별로는 300가구 미만의 소단지의 비중이 39.4%(3만892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1500가구 이상 19.4%(1만5212가구) △300~500가구 미만 17.8%(1만3972가구) △500~700가구 미만 11.9%(9340가구) △700~1000가구 미만 8.0%(6235가구) △1000~1500가구 미만 3.5%(2761가구)로 뒤를 이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전세 시세 기준으로 볼 때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역전세가 우려되는 가구 비중은 낮은 편이지만 매매 및 전세 시장의 내림세가 지속하는 만큼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역전세 매물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임차인들은 가급적 최근 전셋값이 급격하게 내린 아파트의 입주는 피하고, 전세금반환보증보험에 가입하는 등 보증금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343,000
    • -1.57%
    • 이더리움
    • 2,619,000
    • -1.58%
    • 비트코인 캐시
    • 437,600
    • -2.28%
    • 리플
    • 3,001
    • +0.03%
    • 솔라나
    • 168,200
    • -2.27%
    • 에이다
    • 933
    • -2%
    • 이오스
    • 1,183
    • +0.6%
    • 트론
    • 352
    • +2.62%
    • 스텔라루멘
    • 376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40
    • -1.14%
    • 체인링크
    • 18,370
    • -2.91%
    • 샌드박스
    • 380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