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경쟁중시' 이주호, '교육격차 해소' 해결할까

입력 2022-11-11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회경제부 손현경 기자
▲사회경제부 손현경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임명됐다. 그는 취임사에서 국가교육책임제 강화 등을 핵심적으로 추진할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윤석열 정부도 110대 국정과제를 통해 “국가교육책임제 강화로 교육격차를 해소하겠다(국정과제 84번)”고 밝혔다.

학력 격차 등 교육격차 해소는 이 부총리가 가장 역점을 기울일 정책 과제로 꼽힌다.

장관에서 물러난 후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생 개별 맞춤 교육을 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부총리는 교육에서 자율과 경쟁을 중시하며, 우수한 학생들의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는 수월성 교육을 지향하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명박 정부 시절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설립, 학업성취도평가 전수 실시(일제고사), 교원평가 등 민감하면서도 굵직한 정책들을 주도했다.

인사청문회서도 이 부총리의 이 같은 교육철학은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주호 당시 장관은 아이들을 줄 세우기, 경쟁교육으로 내몰았던 장본인으로 평가한다”고 지적했다.

경쟁과 자율을 강조하는 이 부총리가 다시금 교육수장에 앉았다. 그리고 이제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인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과제를 떠안았다.

경쟁을 중시해왔던 이 부총리의 교육철학 코드가 교육격차 해소에 적합할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

물론 이 부총리가 과거 몸담았던 아시아교육협회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격차 해소 활동을 해 왔던 부분을 상기하면 이 같은 걱정이 과한 것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에듀테크 업체 관계자들의 후원이 있었던 점이 알려져 부총리와의 이해충돌 논란이 일었다.

이 부총리의 교육철학에 대한 진짜 검증의 시간은 지금부터다.

국민들은 앞으로 논란이 됐던 이부총리의 에듀테크 교육 정책을 더욱 눈여겨 감시할 것이다. 이 부총리가 그가 중시해오던 경쟁과 자율 중심의 교육철학으로 어떻게 벌어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지도 지켜볼 사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시총 90% 증발한 만트라 코인…'먹튀'냐 '조정'이냐 대혼돈
  • 오세훈·유승민 지지표 한동훈으로...尹, 홍준표 지지시 요동[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치솟은 美국채 금리에 채권개미 ‘엑소더스’
  • '최강야구'에서 '불꽃야구' 준비 마친 박용택…새 장비 스포됐다
  • ‘관세 리스크’ 악재인가 반사이익인가…셈법 복잡한 HMM
  • 아무도 안온다… 엑시트만 남은 10년의 민낯 [脫 한국, 실패한 리쇼어링①]
  • 눈 뜨면 달라지는 美 관세 정책…롤러코스터 타는 기업들 '패닉'
  • "사람인 줄 알았는데"…내가 선택한 남자친구가 AI라고?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5 10: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51,000
    • +0.38%
    • 이더리움
    • 2,364,000
    • +0.68%
    • 비트코인 캐시
    • 468,800
    • -8.88%
    • 리플
    • 3,090
    • -0.45%
    • 솔라나
    • 187,400
    • -1.47%
    • 에이다
    • 923
    • -0.75%
    • 이오스
    • 893
    • -0.45%
    • 트론
    • 366
    • -1.61%
    • 스텔라루멘
    • 3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10
    • -1.84%
    • 체인링크
    • 18,340
    • -1.34%
    • 샌드박스
    • 372
    • -1.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