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해법 ‘곁다리’ 짚는 정부…“HUG, 공시지가 반영률 더 내려야”

입력 2023-01-04 15:2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내 빌라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내 빌라 모습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전세사기 근절 방안을 내놨지만 문제의 핵심을 비켜가면서 ‘수박 겉핥기’식 대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사태의 핵심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전세 보증보험의 허점 보완책이 빠졌기 때문이다. 전세 사기꾼들이 전세 보증보험의 허점을 이용해 대규모 사기 행각을 벌인 것이 확인된 만큼 HUG 전세 보증체계를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앞으로 임차인이 임대차 계약 체결 전 집주인의 세금·금융 정보를 확인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세입자는 물론 은행과 공인중개사 등 전세 계약 이해관계자들이 전세사기 위험을 사전에 파악해 사기 피해를 막겠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번 전세사기의 핵심은 사기범들이 HUG가 공시가격의 140%(기존 150%)까지 시세로 적용해 보증하는 점을 역이용한 것이다. 신축 빌라(다세대·연립주택)는 시세 산정이 어렵고 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HUG는 서민 보호를 이유로 정밀한 검증 없이 공시지가 140% 수준까지는 무작위로 보증한다.

이에 사기범들은 신규 분양 빌라의 집값을 의도적으로 높인 뒤 전세금을 높여 받는 방식으로 이익을 얻는다. 이 방식은 집값 상승기엔 문제가 없지만, 집값이 내림세로 돌아서자 전세 보증금이 시세보다 더 많은 ‘깡통전세’ 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국토부는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9월 전세 보증보험 가입 기준을 현행 공시가격 150% 이하에서 140% 이하로 낮췄다. 예를 들어 시세 5억 원인 빌라의 공시가격은 현실화율 70%를 적용하면 3억5000만 원이다. 하지만 140%를 적용하면 공시가격은 최대 7억 원으로 늘어나고, 이 가격의 70%를 보증한다고 가정하면 4억9000만 원까지 보증금액이 늘어난다. 시세 수준으로 전세금을 높여 부를 여지가 생긴 셈이다.

이런 문제가 이어지자 ‘140%’ 비율 적용도 높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지난해 10월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토부 국정감사에서 “전세보증보험 가입 시 적용되는 주택가격은 현재 공시가격의 150%에서 140%로 10%포인트(p) 하향하고, 전세가율이 90% 넘는 경우 깡통전세 주의지역으로 통보하는 방안으로 사전 예방이 될 것으로 보느냐”며 “신규 주택은 감정평가사와 짜고 집값을 의도적으로 높이고 불법 건축물을 지어 반환보증제도를 악용하는 사례도 있는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 역시 “HUG가 공시지가의 150%까지 보증해주고 거래가 없는 신축주택 감정평가를 세입자에게 맡겼다”며 “사기 예방 홍보 이전에 깡통전세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준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국토부는 “(인정비율이)140%보다 더 낮으면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하는 세입자가 생길 수 있다”며 추가 비율 인하에 난색을 표했다.

하지만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선 HUG 전세 보증보험 가입 기준을 높이고 가입 때 활용하는 주택 공시가격 산정 비율을 120% 수준까지 낮춰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이번 정부의 전세사기 대책은 사후 수습 대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사전에 사기를 막기 위해 보증보험 가입 때 적용하는 공시가격 적용비율을 120~130%로 낮춰야 하고, 전세 보증보험이 정상가격 이상의 보증이 이뤄지지 않도록 적정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새 아이폰에 국산 부품 대거 탑재⋯中 추격 제동 [ET의 칩스토리]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동학개미 표심 잡기 ‘사활’…대선후보 '배당소득세 완화·가상자산' 쏟아지는 자본시장 공약
  • "내란세력" "가짜 진보" "압도적 새로움"…판 뒤집을 '한 방'은 아직
  • “첨단 AI 솔루션 대거 선봬”…삼성·SK, 美 ‘DTW 2025’ 나란히 참가
  • ‘공적자금 연명’ MG손보, 구조조정 남았다⋯계약 유지 여전히 '안갯속'
  • 국산쌀은 일본행, 쌀가공식품은 미국행…찬밥 신세 벗어난 K-쌀[우리쌀, 해외서 재발견]
  • 배터리업계, 구조조정 도미노…“강한 기업만 살아남는다”

댓글

0 / 300
  • 파파33
    임대사업자 입니다. 다세대 주택은 140% 이상은 되어야, 공시지가 기준 대비 시세에 적정한 가격 범위가 나옵니다. 너무 낮추면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해서, 보증보험을 들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단편적인 면만 보지 말고 이런 기사가 나오지 않았으면 하네요!. / 보증 보험을 가입해야 세입자가 안전한거지, 가입을 하도록 시세 범위를 조정해야지, 반대로 줄여서 가입을 아예 못하게 만드는 것은 논리가 맞지 않아 보이네요.
    2023-01-06 13:58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12:2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96,000
    • -1.14%
    • 이더리움
    • 3,434,000
    • -2.8%
    • 비트코인 캐시
    • 559,000
    • -2.61%
    • 리플
    • 3,459
    • +3.38%
    • 솔라나
    • 238,700
    • -2.21%
    • 에이다
    • 1,105
    • -2.99%
    • 이오스
    • 1,199
    • -7.05%
    • 트론
    • 373
    • -0.53%
    • 스텔라루멘
    • 424
    • -2.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400
    • -6.69%
    • 체인링크
    • 22,920
    • -4.46%
    • 샌드박스
    • 481
    • -4.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