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빠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길 잃은 인구정책

입력 2023-01-16 15: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위원장 교체에 위원회 정치력 상실…'출산율 반등' 정책기조 전환 흐지부지

▲나경원 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김영미 상임위원. (사진제공)
▲나경원 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김영미 상임위원. (사진제공)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길을 잃은 모습이다. 나경원 전 부위원장은 해임됐고, 헝가리형 출산정책 등 나 위원장이 제안했던 정책기조 전환은 논의도 없이 흐지부지됐다. 후임으로 내정된 김영미 상임위원은 학계 출신으로, 국가 의제로서 인구정책을 이끌 정치력이 검증되지 않았다.

16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나 전 부위원장의 후임으로 내정된 김영미 상임위원은 조만간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에 정식 임명될 예정이다.

나 전 부위원장은 앞선 기자간담회에서 출산 시 대출원금을 탕감해주는 헝가리형 출산정책을 제안했다. 다음 날 대통령실이 ‘윤석열 정부의 정책기조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며 공개적으로 반박했고, 나 전 부위원장은 구두로 사의를 표명했다. 대통령실이 나 전 부위원장의 사의 표명을 부정하자 나 전 부위원장이 서면으로 사직서를 제출했고, 윤 대통령은 사직서를 수리하는 대신 나 전 부위원장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과 기후환경대사 직에서 해임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내홍에 정부 내에서도 아쉽다는 반응이 나온다. 한 정부부처 고위관계자는 “인구정책을 국가 아젠다로 끌어올리려면 그만한 영향력을 지닌 인물이 부위원장으로 와야 하는데, 그동안 위원회는 존재감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나 전 부위원장 개인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정치력과 영향력에 거는 기대가 컸었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에서 인구정책을 기획재정부가 주도하면서 위원회 예산이 큰 폭으로 삭감됐는데, 국회 논의에서 대부분 복구됐다”며 “나 전 부위원장의 영향력이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고 말했다.

후임 부위원장으로 내정된 김 상임위원에 대해서도 우려가 나온다. 김 상임위원에게 정치권과 접점이라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관계자)’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 일가가 운영하는 동서대학교 교수 출신이란 점뿐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정부부처를 통할하고 저출산·고령화 해소를 윤석열 정부의 핵심 정책의제로 이끄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김 상임위원의 경력을 볼 때, 위원회가 기존 인구정책의 관성을 탈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기존의 인구정책은 보육·여성정책, 외국인력 확대 중심으로 추진돼왔다.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급진적 여성주의(래디컬 페미니즘) 성향의 단체들이 인구정책을 주도해온 결과다. 이들은 결혼·출산으로부터 여성의 해방을 주장한다. 김 상임위원도 2018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대한 젠더 분석-저출산 담론의 재구성을 위하여’ 논문에서 출산에 대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HBM 동맹의 균열… SK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에 무슨 일이 [ET의 칩스토리]
  • 미국 부유층까지 동요…“금융위기·코로나 때처럼 전화 문의 폭주”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단독 환경부, 9월부터 전직원 챗GPT 도입…'기재부版'과 차별화
  • 공정위 'LTV 담합' 과징금 폭탄 예고에…4대 은행 대책 마련 분주
  • 모은 돈이 세력?…이재명·한동훈, 후원금도 경쟁 붙은 2025 대선 [해시태그]
  • “흰 연기를 기다리며”…교황 선종 이후, 콘클라베의 시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945,000
    • +6.06%
    • 이더리움
    • 2,506,000
    • +10.45%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4.27%
    • 리플
    • 3,178
    • +6.32%
    • 솔라나
    • 211,200
    • +7.54%
    • 에이다
    • 965
    • +8.18%
    • 이오스
    • 957
    • +4.36%
    • 트론
    • 354
    • +0%
    • 스텔라루멘
    • 380
    • +5.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930
    • +6.03%
    • 체인링크
    • 20,120
    • +6.96%
    • 샌드박스
    • 418
    • +7.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