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합격했지만 더 잘할 수 있다는 아쉬움 때문에 반수를 고민 하는 학생들이 있다. 반수의 경우 대학에 입학한 상태에서 입시를 준비하다 보니 재수보다 심리적인 부담이 덜하고 최악의 상황을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대학생활과 수험생활을 함께 한다는 것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니다. 입시업체 진학사의 도움을 받아 반수와 관련된 조언을 살펴봤다.
반수는 대학에 우선 적(籍)을 둔 후 다시 수능을 준비하는 것이므로, 대학 등록 전 휴학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1학년 1학기는 휴학할 수 없게 했고, 2학기부터는 휴학할 수 있는 학교들이 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덕성여대나 서울시립대, 성신여대, 숙명여대, 숭실대, 홍익대, 세종대 등과 같이 입학 후 1년간 휴학이 불가능한 대학도 있다”며 “이런 경우 대학생활과 수험생활을 병행해야 하기에 좀 더 세밀한 반수 계획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휴학이 안된다면 대학 생활과 수험생활을 병행할지, 아예 학사경고를 감수하고 수험생활에 몰두할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성적은 물론 출결까지 챙기지 않아 학사경고가 나오더라도, 이를 감수하고 수능을 준비하는 ‘학고 반수’는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반수에서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다시 대학으로 돌아와야 하는데, 학사경고까지 나온 성적을 만회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학고 반수를 선택하더라도 일부 과목은 성적 관리를 해두는 것이 좋다.
반수를 해서 수능을 치르고, 정시지원을 할 때 염두에 둬야 할 것은 이중 학적을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대학에서 자퇴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시 지원을 하는 것은 이중등록이 아니다. 이중등록은 당해 입시에서 합격한 대학을 2개 이상 등록했을 때인데,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은 반수 후 나온 성적으로 지원하는 것과 같은 입시연도가 아니기 때문에 이중등록이라 할 수 없다.
다만, 반수를 해서 나온 정시 성적에 따라 등록하고 입학을 하기 전까지는 기존 학교를 자퇴해야 한다. 자퇴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 대학에 입학할 경우에는 이중 학적에 해당되고, 학칙에 따라 제적까지 될 수 있다. 반수생들은 추가합격 이후인 2월 말까지는 기존에 다니던 학교에서 자퇴 처리를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