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로닉, 17년 연속 ‘세계일류상품 및 생산 기업’ 선정

입력 2023-02-10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레이저 의료기기 기반 RF, LED 등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한 제품 생산

▲루트로닉 CI (사진제공=루트로닉)
▲루트로닉 CI (사진제공=루트로닉)

루트로닉이 6일 산업통산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 세계일류상품 및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2006년 최초 선정된 이후 17년 연속이다.

세계일류상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인증하는 상품이다. 매년 우리나라 제품 중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선정해 인증하는 제도다. 전년 기준 세계시장 규모가 연간 5000만 달러 이상이거나 수출 규모가 연간 500만 달러 이상인 상품 중 세계시장 점유율이 5위 이내이면서 5% 이상인 제품이 선정 대상이다. 루트로닉은 ‘의료용 레이저 수술기’ 품목으로 선정됐다.

루트로닉은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이기도 하다.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은 자사가 생산하는 상품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5위 이내이거나, 자사가 생산하는 상품의 수출액이 국내 동종상품 생산기업 중 1위일 경우, 또는 자사가 생산하는 상품의 수출액이 국내 동종상품 수출액의 30%를 차지하는 경우 선정된다.

1997년 설립된 루트로닉은 레이저 의료기기를 기반으로 RF(Radio Frequency), LED(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한 제품을 생산 중이다. 대표 제품은 △더마브이 △헐리우드 스펙트라 △클라리티II △울트라 등이다.

2021년 연결기준 매출 1736억 원, 영업이익 298억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고, 매출의 83%가 해외에서 발생하는 등 본사와 해외 법인이 협력해 활발한 해외 매출을 일으키고 있다. 2006년 코스닥에 상장했다.

루트로닉 관계자는 “한국 레이저 의료기기 시장의 초기 개척자로서, 해외 80여 개국에 수출을 이뤄내는 등 시장 선도자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앞서가는 기술로 혁신적이며, 사용하기 쉽고, 다양한 세계적 제품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의 쓰레기봉투가 파헤쳐진다…과태료 파파라치 괴담, 진짜일까? [해시태그]
  • 대기업 회장님도 유느님도 탔던 '제네시스'…럭셔리 국산차의 산 증인 [셀럽의카]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이젠 모르겠다” 월가, 트럼프발 증시 급등락에 한숨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폭싹 속았수다’로 왕좌 굳힌 넷플릭스…쿠팡·티빙은 2위 쟁탈전
  • 트럼프, 중국에 ‘145%’ 관세…시진핑은 동남아 3국으로 ‘우방 결속’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976,000
    • +0.14%
    • 이더리움
    • 2,279,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446,200
    • +3.22%
    • 리플
    • 2,924
    • -0.95%
    • 솔라나
    • 174,600
    • +4.86%
    • 에이다
    • 904
    • +0.11%
    • 이오스
    • 908
    • -3.81%
    • 트론
    • 349
    • -1.69%
    • 스텔라루멘
    • 341
    • -1.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00
    • +0.81%
    • 체인링크
    • 18,240
    • +0.77%
    • 샌드박스
    • 379
    • +0.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