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톡톡] 2023 대입 마무리…수도권 추가모집 92대 1·지방대는 충원난

입력 2023-03-01 11: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평균 경쟁률 서울시립대 262.6대1 최고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지난해 12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학년도 정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지난해 12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학년도 정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2023학년도 대입 추가모집에서도 수도권과 지역대학의 양극화가 크게 나타났다. 수도권 주요 대학 평균 경쟁률이 90대 1을 웃돈 반면, 지방은 마감 당일에도 정원 못 채운 곳이 다수일 정도로 충원난에 허덕였다.

종로학원이 1일 대입 추가모집 일반전형 최종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과 경기·인천지역에서 추가모집을 진행한 28개 대학의 평균 경쟁률은 91.9대 1로 집계됐다. 760명 모집에 6만9833명이 지원했다.

인문계열은 296명 모집에 3만3891명이 지원해 114.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자연계열은 442명 모집에 4만4091명이 지원, 경쟁률은 77.1대 1이었다.

추가모집을 진행한 대학 중 평균 경쟁률이 가장 높은 대학은 서울시립대로 262.6대 1에 달했다. 이어 중앙대(193.8대 1), 상명대(179.1대 1) 등이었다.

학과별로는 인문계열의 경우 한양대 교육공학과가 667.0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1명 모집에 667명이 지원했다. 자연계열에서는 중앙대 수학과가 248.0대 1로 가장 높았고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224.0대1), 서울과기대 안경광학과(221.0대 1) 등으로 조사됐다.

지역 소재 대학 다수는 추가모집 마감일인 지난달 28일 오전까지도 추가모집 원서접수를 진행했다. 서울권 대학은 대부분 지난달 27일 원서접수를 마감했다.

각 대학 홈페이지 공개 기준으로 2월 마지막날일까지 추가모집을 진행한 대학은 전국 60개 대학이다. 이 가운데 48개 대학(80.0%)은 지역 소재 대학으로 경기·인천은 8개 대학(13.3%) 서울은 4개 대학(6.7%)이었다.

한편 추가모집을 끝으로 지난해 9월 수시모집부터 6개월간 진행된 2023학년도 대입은 모두 마무리됐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모집정원이 줄면서 최종적으로 대학별 미충원 인원은 지난해보다 줄 수 있다”면서 “2023학년도 대입은 문·이과 통합형 수능에 따른 이과생의 인문계열 교차지원 증가, 의·약학 쏠림현상, 수도권·지역소재대학 양극화 지속, 서울권 대학으로 번진 대규모 추가모집 등 다수 이변으로 요약된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 공포에 코스피도 4%대 폭락…사이드카 발동
  •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 단독 獨 거대 병원 그룹도 찾았다…삼성전자, '헬스케어' 확장 가속화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유력…내일 국무회의서 확정ㆍ공고
  • “가게에 활기 좀 돌았으면”…탄핵 이후 최대 과제는 경기침체 해소 [르포]
  • 관세 전쟁서 자유로운 K조선, 美 협상 카드 급부상
  • 간밤 울산 남구 선암동 화재 발생…1명 사망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2,481,000
    • -8.68%
    • 이더리움
    • 2,210,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380,600
    • -13.05%
    • 리플
    • 2,480
    • -21.07%
    • 솔라나
    • 146,700
    • -17.35%
    • 에이다
    • 781
    • -17.96%
    • 이오스
    • 1,055
    • -4.52%
    • 트론
    • 335
    • -4.56%
    • 스텔라루멘
    • 305
    • -18.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7,220
    • -17.91%
    • 체인링크
    • 15,580
    • -17.26%
    • 샌드박스
    • 326
    • -14.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