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생산자물가 0.1% 상승… 두달 연속 상승

입력 2023-03-21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비스 가격(음식 및 숙박 등), 공산품(화학제품 등)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전월 대비 0.1% 올랐다. 두 달 연속 상승이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 상승폭은 4.8%로 8개월 연속 상승세가 둔화됐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 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42로 1월(120.25)보다 0.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보여 주는 것으로,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전월 대비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은 지난해 11월과 12월 두 달 연속 하락한 후 올해 1월 반등해 두 달 연속 오름세로 전환했다.

품목별 등락률을 보면, 농림수산품에선 농산물(1.5%), 수산물(2.1%)이 올랐으나, 축산물(-3.2%)이 내려 전월대비 0.2%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제품(-1.0%) 등이 내렸으나 화학제품(0.6%) 등이 올라 전월대비 0.1%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산업용도시가스(-1.5%), 증기(-2.1%) 등이 내려 전월대비 0.3% 하락했다.

서비스의 경우,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6%), 부동산서비스(0.5%) 등이 올라 전월대비 0.3%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조기(118.3%), 풋고추(56.8%), 호박(18.8%), 아이스크림(10.3%) 등의 가격이 올랐다. 반면 돼지고기(-9.7%), 달걀(-11.0%), 경유(-4.8%) 등은 떨어졌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석유, 도시가스 등 에너지 관련 생산자물가가 1월보다 내렸지만, 서비스 물가가 오르면서 전체 생산자물가가 0.1% 상승했다"며 "3월 생산자물가에도 에너지와 서비스 물가 관련 상·하방 요인이 모두 잠재한 상태"라고 말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국내에 공급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원재료(1.3%), 중간재(0.7%), 최종재(0.5%)가 모두 올라 전월 대비 0.7%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총산출물가지수도 1월보다 0.4% 올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81,000
    • +0.4%
    • 이더리움
    • 2,310,000
    • +0.22%
    • 비트코인 캐시
    • 497,200
    • +4.15%
    • 리플
    • 3,010
    • -0.89%
    • 솔라나
    • 195,000
    • +1.62%
    • 에이다
    • 896
    • -0.11%
    • 이오스
    • 916
    • +3.62%
    • 트론
    • 353
    • -1.94%
    • 스텔라루멘
    • 353
    • +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10
    • +3.21%
    • 체인링크
    • 18,260
    • +1.22%
    • 샌드박스
    • 378
    • +6.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