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연준 긴축속도 빠르면, 신흥국 투자자금 순유출 확대"

입력 2023-03-31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준 통화긴축기 초기에도 순유출 가능성 높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D.C./신화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D.C./신화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긴축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면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이 확대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31일 한국은행은 '미 통화정책 긴축이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조사통계월보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국가패널분석 결과에 따르면 내외금리차 등 금리 변수 외에도 위험회피심리, 성장률 격차, 원자재 가격 등이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입 전망 시 금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다만 이번 긴축기 들어 미 연준 정책금리의 자자금 순유출에 대한 영향이 유의해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출처=한국은행)
(출처=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세 차례의 미 연준 통화정책 긴축기 중 처음 두 번의 긴축기에서는 신흥국으로 포트폴리오 투자자금이 순유입됐지만, 이번 긴축기에는 지난해 9월까지 큰 폭의 순유출을 나타냈다.

특히 긴축기조 전환 이전에 장기간 큰 폭의 완화기조가 지속됐던 긴축기의 초기와 금리인상 속도가 시장 예상 수준을 상회했던 이번 긴축기에는 공통적으로 투자자금 순유출이 발생했다.

한은은 "신흥국 투자자금 유출입을 전망하거나 그 요인을 분석할 때 미 연준의 통화정책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이번 긴축기처럼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가 시장의 예상을 상회할 경우 신흥국에서의 투자자금 유출이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 연준 통화정책 긴축기 초기에는 신흥국 투자자금이 순유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동 기간 중에 대외부문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15,000
    • -0.44%
    • 이더리움
    • 2,624,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2.47%
    • 리플
    • 3,136
    • -0.25%
    • 솔라나
    • 208,300
    • -1.28%
    • 에이다
    • 988
    • -1.4%
    • 이오스
    • 1,013
    • -1.55%
    • 트론
    • 356
    • +0.56%
    • 스텔라루멘
    • 385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350
    • -1.87%
    • 체인링크
    • 20,130
    • -2.28%
    • 샌드박스
    • 400
    • -4.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