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노동인구, 지난해 2.4% 줄어...역대 최대 감소폭

입력 2023-04-04 15: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9.4만명 감소...통계 시작 이래 최대 감소폭
국가보안법ㆍ제로코로나 여파 인재 유출 몸살

▲홍콩의 한 공공 주택 단지에 25일 홍콩 반환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중국의 오성홍기와 홍콩 특별행정구 구기가 각 층마다 걸려 있다. 홍콩/AP뉴시스
▲홍콩의 한 공공 주택 단지에 25일 홍콩 반환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중국의 오성홍기와 홍콩 특별행정구 구기가 각 층마다 걸려 있다. 홍콩/AP뉴시스

홍콩의 노동인구가 지난해 40년 만에 최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전날 홍콩 인구통계국이 발표한 데이터를 인용해 외국인 가사 도우미를 포함한 홍콩 노동인구가 지난해 9만4100명(2.4%)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해당 통계가 시작된 1985년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홍콩의 인구는 2019년 750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리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19년 반정부 시위 이래 홍콩 노동인구가 감소세를 보였으며, 지난해까지 4년간 22만500여 명이 홍콩 노동 시장을 떠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가보안법에 이어 3년간 이어진 ‘제로 코로나’ 정책 등의 영향으로 변호사나 은행가 등 고소득 인력들의 유출이 갈수록 악화하면서 홍콩 정부의 인재 확보에 대한 고민도 커지고 있다.

존 리 홍콩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인력 부족은 공공서비스와 홍콩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인재 유치를 홍콩 정부의 정책 우선순위에 둘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홍콩 정부는 지난해 10월 해외 고액 연봉자나 세계 100대 명문대학 졸업생에 2년간 비자를 부여하는 ‘탑 탤런트 패스’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해당 프로그램에 관심을 보이는 이들은 대부분 중국 본토 출신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홍콩은 ‘아시아 금융 허브’ 자리를 놓고 급부상 중인 싱가포르와 경쟁을 벌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810,000
    • +1.12%
    • 이더리움
    • 2,617,000
    • +3.15%
    • 비트코인 캐시
    • 539,000
    • +7.58%
    • 리플
    • 3,302
    • +0.46%
    • 솔라나
    • 213,800
    • +1.28%
    • 에이다
    • 1,027
    • +3.32%
    • 이오스
    • 1,007
    • +2.76%
    • 트론
    • 355
    • -0.28%
    • 스텔라루멘
    • 404
    • -1.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50
    • -0.53%
    • 체인링크
    • 21,400
    • +1.61%
    • 샌드박스
    • 434
    • +1.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