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안전성 평가"…日 "평가 안 할 것"

입력 2023-05-09 16: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보고…日 "오염수 안전성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 것"

▲윤석열 대통령과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찾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찾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외교부는 이달 하순 파견하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현장 시찰단과 관련해 "독자적으로 오염수 처리의 안전성을 중층적으로 검토·평가할 기회가 확보됐다"고 9일 밝혔다. 다만, 같은 날 일본 정부는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외교부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현안 보고 자료에서 일본에 파견되는 현지 시찰단 활동과 관련해 "오염수 처분 관련 시설을 점검하고 자체적인 과학적·기술적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보고했다.

그러나 같은 날 일본 정부는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국 전문가 시찰로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한국 내 이해가 깊어질 것을 기대한다면서도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성을 평가하거나 확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니시무라 경제산업상은 한국 시찰단에 오염수 저장 상황과 방류 설비 공사 현황을 설명하고, 오염수의 방사성물질 농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춰 방류한다는 점을 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에 나올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매우 투명하게 정보를 발신하고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7일 정상회담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안전성에 대한 한국 국민의 우려를 고려해 한국 정부·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시찰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양국은 조만간 국장급 협의를 열고 시찰단의 세부 일정과 규모 등에 대해 협의할 계획이다.

한편, 외교부는 이번 한일정상회담의 주요 성과로 정상 간 셔틀 외교 본격 가동, 한일관계 정상화·개선의 본궤도 진입을 꼽았다. 외교부는 "(일본은) 과거사 관련 우리의 대승적·주도적 결단에 대해 기시다 총리 본인의 피해자 대상 메시지 표명 등으로 호응했다"며 "반도체 공급망 협력 등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가 창출됐고 글로벌 현안 관련 양국 공조가 심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보공유 및 훈련 등 한미일 3국 간 안보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구체 방안을 지속해서 모색하겠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16,000
    • +1.1%
    • 이더리움
    • 3,246,000
    • +10.75%
    • 비트코인 캐시
    • 570,500
    • -2.89%
    • 리플
    • 3,288
    • +3.62%
    • 솔라나
    • 240,200
    • +6.66%
    • 에이다
    • 1,092
    • +5.41%
    • 이오스
    • 1,196
    • +1.1%
    • 트론
    • 366
    • +1.95%
    • 스텔라루멘
    • 413
    • +3.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00
    • +2.42%
    • 체인링크
    • 22,350
    • +3.14%
    • 샌드박스
    • 461
    • +5.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