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주 제넨바이오 대표, 연구개발 책임자로 직책 변경

입력 2023-05-15 10: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영은 전문 경영인에게 위임…연구개발에 집중

▲김성주 제넨바이오 대표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이종췌도이식 임상시험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노상우 기자 nswreal@)
▲김성주 제넨바이오 대표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이종췌도이식 임상시험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노상우 기자 nswreal@)

김성주 제넨바이오 대표이사가 사장 및 최고기술책임자(Chief Technology Officer, CTO)로 직책을 변경하고 바이오사업 연구개발에 매진한다고 15일 밝혔다.

김 사장은 선택과 집중을 위해 직책을 변경하고 이종이식 연구개발에 주력하기로 했다. 주력 사업인 이종장기이식 연구개발을 비롯해 동물모델 비임상시험, 신규 면역억제제 개발 등 바이오사업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비즈니스 단계를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제넨바이오는 지난해 승인된 이종췌도이식 임상시험을 기점으로 △간 및 신장 이종이식 비임상시험 △돼지 피부를 가공한 화상치료제 △각막이식 비임상시험 등을 진행하고 있다.

김 사장은 “바이오사업 규모가 점차 확대되고 있어 지금부터는 연구개발에 집중하고자 한다”며 “이종이식 전문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겠다는 회사의 장기적인 비전을 실현해 나갈 예정이며, 그간의 대표이사 경험을 살려 회사 경영에 필요한 조언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한진 제넨바이오 대표이사는 “대표이사로 취임하게 돼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김 사장이 연구하는 이종이식 연구개발이 성공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며 “지금부터는 회사가 경영 건전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흑자 전환 및 재무 개선을 최우선 숙제로 두고 풀어갈 예정이다. 매출 및 영업이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사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넨바이오는 영장류 비임상 CRO(임상시험수탁기관) 사업을 근간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임상시험을 위한 수익을 확보할 계획이다. 제넨바이오는 이종이식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영장류 CRO 핵심 인재들과 함께 non-GLP 비임상시험 사업을 진행 중이며, 사업 규모 확대를 위해 최근 영장류 300마리를 추가로 확보했다. 현재는 GLP 인증 획득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이제야 벚꽃 만개했는데…비 소식에 주말 벚꽃 엔딩?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000,000
    • -1.28%
    • 이더리움
    • 2,236,000
    • -4.44%
    • 비트코인 캐시
    • 413,600
    • -0.05%
    • 리플
    • 2,760
    • -0.83%
    • 솔라나
    • 161,800
    • -0.25%
    • 에이다
    • 869
    • -0.23%
    • 이오스
    • 1,014
    • -6.28%
    • 트론
    • 344
    • -1.71%
    • 스텔라루멘
    • 336
    • -1.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280
    • -2.39%
    • 체인링크
    • 17,240
    • -0.29%
    • 샌드박스
    • 362
    • +1.97%
* 24시간 변동률 기준